성경 묻고답하기

제목 구원의 조건 (의화 논쟁) 카테고리 | 천주교
이전글 답변 구약성경 경전목록이 유다교측/개신교측과 동일하지 않은 배경 외  
다음글 답변 Re:시편 몇장 몇절에 있는 구절인지 알려주세요.  
작성자이삼용 쪽지 캡슐 작성일2012-07-12 조회수763 추천수0 신고

질문의 내용과는 직접 관련이 없을 수도 있겠지만, 워낙 개신교의 교리(믿음)와 차이가 커서, 소순태형제님의 충분한 설명에 감히 조금 더 언져볼까 합니다.

(이하 당시 관련 기사중에서 인용)
교황청과 루터교 세계연맹은 1967년부터 대화를 통해 일치방안을 모색한 끝에 1999년 10월 의화교리에 관한 공동선언을 이끌어내 구원 논쟁에 종지부를 찍었으며 세계감리교협의회도 7년 만에 이 선언에 동참키로 했습니다.

"구원은 전적으로 하느님(하나님)의 자유로운 선물이며 이는 선행을 통해서가 아니라 은총과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해 오는 것이다. 그러나 성령께서 주시는 은총은 인간에게 선행할 힘을 주시고 또 그렇게 하도록 부르신다"는 것이 이 선언의 골자다. 선행만으로 구원될 수는 없지만 선행은 신앙의 실천이라는 얘기다.”
(추가 정보는 ”구원의 조건“이나 ”의화논쟁“을 검색해보시면 됩니다)

야고보서 2장 (믿음과 실천) 14 나의 형제 여러분, 누가 믿음이 있다고 말하면서 실천이 없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그러한 믿음이 그 사람을 구원할 수 있겠습니까? 26 영이 없는 몸이 죽은 것이듯 실천이 없는 믿음도 죽은 것입니다.
(이외에도 실천의 필요성에 관한 성경 말씀이 많이 있습니다)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4/500)
[ Total 24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
  • 소순태 (sunsoh) 쪽지 대댓글

    + 찬미 예수님! "선행", "은총", 그리고 "영원한 구원"이라는 개념들 사이의 논리적 포함관계를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선행을 하는 자들 중에서만 은총을 받는 자들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은총을 받는 자들 중에서만 영원한 구원을 받는 자들이 있을 수 있다." 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있을 수 있음"을 처음부터 끝까지 주관하시고 그리고 가부를 결정하시는 분은 "하느님 한 분"뿐이십니다.

    2012-07-12 추천(0)
  • 문경준 (jeunerhino) 쪽지 대댓글

    선행은 은총의 선결 조건이 아닙니다. 은총은 하느님의 선물일 뿐이지 어떤 행위에 대한 댓가가 아닌 까닭입니다. '모든 성인은 과거가 있고 모든 악인은 미래가 있다'는 가톨릭의 격언(?)이 이를 잘 설명한다고 하겠습니다. 선행이란, 우리가 받은 이 '무조건적 선물'에 합당하게 그 마음과 행동의 변화를 말하는 것입니다. 또한 그 '선물'이 내게서 떠나지 않도록 나 자신을 계속 쓸고 닦는 '노력'이라는 것이지요.

    2012-07-13 추천(0)
  • 문경준 (jeunerhino) 쪽지 대댓글

    '의인은 믿음으로 산다'는 개신교의 주장 또한 맞는 말이지만 그 '믿음'이 약해지거나 더럽혀져 그 행실이 악해지면 당연히 구원에서 멀어질 겁니다. 또한 '선행'을 구원의 필수조건으로 삼는 주장 또한 그 자체로 한계를 가질 수 있습니다. 모든 주장에 있어 극단적 입장을 취하게 되면 부작용을 낳게 됩니다. 위 이삼용님께서 옮기신 '일치 선언' 내용은 그 좋은 해결책이라 할 수 있을 겁니다. 한 발씩 양보하는 자체로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한 발 더 나아가는 것이겠지요. 그게 일치의 첫걸음일 테고요...

    2012-07-13 추천(0)
  • 문경준 (jeunerhino) 쪽지 대댓글

    제 첫 댓글에 대한 예를 좀 들어 보지요. 우리가 알고 있는 성인들 중 몇몇은 가톨릭에 귀의하기 전에 꽤나 못된 짓을 많이 했다지요. 그러나 어느 순간 - 그게 모친의 기도이든 주님의 발현이든 - 변화를 가져옵니다. 그게 은총이지요. 그 이후 그 성인은 하느님을 떠나지 않았고 성인이 된 것이지요. 반면, 어떤 이들은 그리스도의 품 안에서 잘 지내다가 어느 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져 그 은총을 스스로 내팽개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선행과 은총의 관계는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이곳에도 그런 경우를 많이 보지요. 구원의 은총을 받은 이가 못된 짓만 골라서 하는... 선행을 하는 자들만 은총을 받는다면? 글쎄요...

    2012-07-13 추천(0)
  • 문경준 (jeunerhino) 쪽지 대댓글

    사람은 동물이다. 개도 동물이다. 그럼 사람은 개다???????? 한 명제가 '참'일 때 그 명제의 <역/이/대우>가 항상 참일까? 어떤 '참'인 명제의 '역명제'가 또한 '참'일 경우에는 '동치'가 성립되지만 '참'이 아닐 경우엔 동치관계를 얘기할 수 없습니다. 소순태님의 첫 명제는 '거짓'이므로 두 개의 명제는 동치가 아닙니다. 억지춘향일 뿐이지요. 사람이 개랑 동치가 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2012-07-13 추천(0)
  • 소순태 (sunsoh) 쪽지 대댓글

    [ "선행을 하는 자들 중에서만 은총을 받는 자들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은총을 받는 자들 중에서만 영원한 구원을 받는 자들이 있을 수 있다." ] <----- 이 문장과, 다음의 문장은 논리적으로 동치입니다. -----> [ "영원한 구원을 받은 자들은 은총을 받은 자들이며, 그리고 은총을 받은 자들은 선행을 한다."]

    2012-07-13 추천(0)
  • 소순태 (sunsoh) 쪽지 대댓글

    그리고 다들 잘 알고 계시곘지만, 어떤 명제가 참이면 반드시 그 대우도 참이며, 대우가 참이면 원래의 명제도 참입니다.

    2012-07-13 추천(0)
  • 문경준 (jeunerhino) 쪽지 대댓글

    원래의 명제가 거짓임은 이미 드러나 있습니다. 즉 선행은 은총의 선행 조건이 아닙니다. 따라서 위 두 명제는 대우 관계가 아닙니다. 물론 명제라고 할 것도 없지만...

    2012-07-13 추천(0)
  • 문경준 (jeunerhino) 쪽지 대댓글

    이리 저리 복사질에 바쁘십니다. 이상의 댓글에 관심 있는 분들은 자게로 놀러 오세요. 웃기는 얘기 계속 읽을 수 있을 겁니다...^^

    2012-07-13 추천(0)
  • 소순태 (sunsoh) 쪽지 대댓글

    즉, 다음의 명제들은 논리적으로 동치입니다. 단, 여기서 "~" 은 "부정(negation)"을 나타냅니다: (1) P implies Q; (2) P only if Q; (3) ~P unless Q; (4) ~Q implies ~P.

    2012-07-13 추천(0)
  • 소순태 (sunsoh) 쪽지 대댓글

    한 가지 더 말씀드리면, ['선행을 하는 자만 은총을 입는다'] 라는 명제는 ["선행을 하는 자들 중에서만 은총을 받는 자들이 있을 수 있다"]라는 명제와 논리적으로 동치가 아닙니다.

    2012-07-13 추천(0)
  • 소순태 (sunsoh) 쪽지 대댓글

    그리고 ["선행을 하는 자들 중에서만 은총을 받는 자들이 있을 수 있다"] 라는 명제는, "선행을 하는 자" = Q, "은총을 받은 자" = P 라고 각각 표현할 때에, 다음의 명제와 논리적으로 동치입니다: [~Q implies ~P].

    2012-07-13 추천(0)
  • 소순태 (sunsoh) 쪽지 대댓글

    그리고 여기서, "있을 수 있음"을 처음부터 끝까지 주관하시고 그리고 가부를 결정하시는 분은 "하느님 한 분"뿐이십니다.

    2012-07-13 추천(0)
  • 소순태 (sunsoh) 쪽지 대댓글

    예를 들어, 주어진 미분 가능한 일변 함수 f(x) 의 극대값 혹은 극소값을 구할 때에 적용하는, 소위 말하는, "임계점 정리"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학습한 고등학생들은 저의 지적을 대단히 쉽게 이해할 것입니다.

    2012-07-13 추천(0)
  • 문경준 (jeunerhino) 쪽지 대댓글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선행을 하는 자들 중에서만 은총을 받는 자들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은총을 받는 자들 중에서만 영원한 구원을 받는 자들이 있을 수 있다." 는 소순태씨의 주장은 '완전 엉터리'라는 겁니다. 나머지 내용은 자유게시판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이 문제에 대한 추가적 언급을 여기서는 더이상 하지 않겠습니다.

    2012-07-13 추천(0)
  • 소순태 (sunsoh) 쪽지 대댓글

    예를 들어 입학과 졸업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또 한 개의 예로서 말씀드리면, [입학을 하는 사람들 중에서만 졸업을 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라는 명제와 [졸업을 하는 사람은 입학을 한 사람이다] 라는 명제는 논리적으로 동치입니다. 아닌가요?

    2012-07-13 추천(0)
  • 소순태 (sunsoh) 쪽지 대댓글

    마찬가지로, [ "선행을 하는 자들 중에서만 은총을 받는 자들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은총을 받는 자들 중에서만 영원한 구원을 받는 자들이 있을 수 있다." ] <----- 이 문장과, 다음의 문장은 논리적으로 동치입니다. 곰곰히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 [ "영원한 구원을 받은 자들은 은총을 받은 자들이며, 그리고 은총을 받은 자들은 선행을 한다."]

    2012-07-13 추천(0)
  • 소순태 (sunsoh) 쪽지 대댓글

    우리나라의 일부 대학생들이, [자신이 대학교에 입학을 하였으니 자신은 당연히 졸업을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커다란 잘못입니다.

    2012-07-13 추천(0)
  • 맨 처음 이전 1 다음 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