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묻고답하기

제목 Re:부르진 갈대 = 상한 갈대 ? 카테고리 | 성경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질문 눗뉴스 메인  
작성자김인기 쪽지 캡슐 작성일2015-01-29 조회수1,407 추천수0 신고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제 개인적인 신앙심으로는, 성경 귀절이 부러진 갈대이든 상한 갈대이든 구태여 가릴 처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저는 주님 앞에서 상한 갈대이기도 하고 부러진 갈대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연유로 고개 숙여도 주님께서는 결코 저를 꺽지는 않으시리라 믿습니다.

그저 축- 처진 어깨로, 머리를 푹- 숙이고 주님 앞에 나아가 서기만 하면 되니까요.


하지만, 이 복선자매님께서 

'-이 단어(ratsats qaneh )는 구약에 세 번 나오고 있는데, 우리말 성경은 세번 모두 '부러진 갈대'로 번역하였고,

NAB 성경에서는 brocken reed 2번, bruised reed 1번 으로 번역하였습니다.-라고 지적하셨습니다.


NAB 성경은 한 책 안에서 broken reed(부러진 갈대) 라는 단어와 bruised reed(상한 갈대) 라는 두 단어를 사용하였는데, 두 단어를 사용한 이유가 있지 않겠습니까?

왜 우리 성경에서는 전부 다 '부러진 갈대'라고 표현했느냐? 가 제 질문입니다.


성서 번역에 있어서, 성서를 직역해야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만,

성서 본문에 충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비슷한 뜻을 가진 단어들을 사용 빈도수가 많은 쪽으로 통일하여 사용한다는 것은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4/500)
[ Total 24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
  • 이복선 (lbs) 쪽지 대댓글

    † 찬미 예수님! (김인식님 질문) NAB 성경은 한 책 안에서 broken reed(부러진 갈대) 라는 단어와 bruised reed(상한 갈대) 라는 두 단어를 사용하였는데, 두 단어를 사용한 이유가 있지 않겠습니까? 왜 우리 성경에서는 전부 다 '부러진 갈대'라고 표현했느냐? 가 제 질문입니다. (제 의견) 김인식님의 질문에 답변이 될지 모르오나, 제 생각을 적어 보겠습니다. -NAB 성경은 한 책 안에서 broken reed(부러진 갈대) 라는 단어와 bruised reed(상한 갈대) 라는 두 단어를 사용하였는데, 두 단어를 사용한 이유에 대하여... 1. 성경 본문에서는 같은 단어(ratsats qaneh )일지라도, 이사42,3은 우호적 의미로, 2열왕17,20과 이사36,6은 부정적 의미라서, NAB 성경에서는 그 두가지를 다른 단어로 구분해서 쓴 게 아닐까 생각해봤솝니다. 2. 영어인 경우 반복해서 똑같은 단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이사 42,3의 경우, 바로 뒷부분에 break라는 단어가 나오므로 brocken reed 보다는 bruised reed로 번역하지 않았을까 생각해봤습니다. (어떤 영어 버전에서는 brocken reed라고 번역되어 있는 것도 있긴 합니다. :https://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Isaiah+42&version=LEB)

    2015-01-30 추천(0)
  • 이복선 (lbs) 쪽지 대댓글

    -히브리어(ratsats qaneh )을 NAB성경과는 달리, 우리말 성경에서는 세 번 다 똑같이 '부러진 갈대' 라고 번역했을까? 에 대하여... 1. '부러진 갈대' 라는 의미가 2 열왕 17,20과 이사 36,6은 부정적(혹은 비하) 의미로, 이사 42,3은 우호적(혹은 연민)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단어를 바꿔서 쓰지 않더라도 문장속에서 익히 분별할 수 있으므로 우리말 성경에서는 세 번 다 똑같이 번역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봤습니다. 2. 이사42,3의 경우, 우리말 성경에서의 '부러진'/ '꺾지'는 같은 단어가 아니므로, 영어(brocken/break)와는 달리, 중복된다는 느낌이 없으므로 다른 말로 바꿀 필요가 없었을것 같습니다. 3.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점은, 우리말 성경 번역시 성경 본문에 충실하게 번역하는 것을 대원칙으로 삼았기 때문에 같은 본문 단어는 같은 번역으로 한게 아닐까 생각해 봤습니다. --이상은 저의 의견 입니다.---

    2015-01-30 추천(1)
  • 맨 처음 이전 1 다음 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