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묻고답하기

제목 히브리인(유다인)들의 조상과 조상들의 언어? 카테고리 | 성경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질문 첫 인사드림  
작성자임희근 쪽지 캡슐 작성일2018-04-01 조회수6,335 추천수0 신고

너희는 주 너희 하느님 앞에서 이렇게 말해야 한다.
'저희 조상은 떠돌아다니는 아람인이었습니다.

그는 몇 안 되는 사람들과 이집트로 내려가 이방인으로 살다가,
거기에서 크고 강하고 수가 많은 민족이 되었습니다.' (신명 26,5)


그러고 나서 조상들의 언어로 찬미가를 부르고

함성을 지르며 고르기아스의 군대를 기습하여 패주시켰다. (2마카 12,37)


.

.

.

.

 

성경 공부 중 궁금해져 올립니다. 히브리인(유다인)들의 조상이 아람인이라면 조상들의 언어로

찬미가를 부르거나 말하는 구절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아람어인가요?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성경, 유다인, 히브리인, 언어, 히브리어, 아람어, 아람인, 조상, 조상들의 언어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4/500)
[ Total 24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
  • 이정임 (rmskfk) 쪽지 대댓글

    찬미예수님! 임희근님을 위해 기도 드립니다. 자료실 > 성경 자료실에서 히브리어와 아람어로 검색해서 공부해 보시면 아시는 내용입니다만 간단하게 요약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유다인들이, 그러니까 아브라함이 우르에서 사용했던 것은 히브리어입니다. 그러다가 기원전 538년 페르시아의 고레스 임금이 페르시아를 통일하고 그는 제국의 공용어를 아람어를 채택하였습니다. 이때부터 아람어를 쓰게 되었다고 보시면 되실 것 같습니다. 히브리어와 아람어는 알파벳이 같고 문법 규칙도 비슷하며 오늘날 아람어는 히브리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아무튼 그렇게 해서 아람어는 예수님 시대까지도 사용되었다는 점입니다. 자기들의 언어인 히브리어가 있었지만 아람어는 쓰게 되는 것이지요. 그런데 제2경전을 뺀 나머지 구약성경은 히브리어로 쓰여졌다는 사실입니다.

    2018-04-01 추천(0)
  • 이정임 (rmskfk) 쪽지 대댓글

    아브라함이 하란에 머물러 살았던 당시에 아람인들과 어울려 살았다는 사실입니다. 또한 이사악의 아내 레베카도 아람 출신이고, 야곱의 아내 라헬과 레아도 아람 출신 이며 이들에게서 12지파의 뿌리가 되는 12 아들을 얻게 됩니다. 이렇게 보면 아람인 은 이스라엘과 연관이 깊습니다. 이스라엘 민족은 처음에는 민족을 이루지 못했습니 다. 이스라엘이 민족을 이룬 것은 이집트 탈출 이후입니다. 그러니까 신명기 25장 5 절에 자신들을 떠돌아 다니는 아람인이라고 소개하는 것이지요.

    2018-04-01 추천(0)
  • 이정임 (rmskfk) 쪽지 대댓글

    그러니까 마카베오기는 그리스 말로 쓰여졌습니다. 마카베오기의 배경이 고대 그리스라는 이야기이지요.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기원전 175-164년) 때가 시대적 배경입니다. 박해가 무척 심했던 시대입니다. 그러니까 당시 유다인들은 그리스 말로 찬미가를 부르지 않고 당시 자신들이 사용하던 언어인 아람어를 사용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지요.

    2018-04-01 추천(0)
  • 맨 처음 이전 1 다음 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