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묻고답하기

제목 역대기하권 28장19절에 대한 질문 카테고리 | 성경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질문 봉헌금을 실수로 못냈는데 돌아오는 주일에 더해서 내면 될까요? |1|  
작성자백영숙 쪽지 캡슐 작성일2021-03-22 조회수7,236 추천수0 신고

위는 성경비교에서 스크린샷입니다.

"이스라엘 임금 아하즈가 유다에서 멋대로 행동하면서....."

시리아-에프라임 전쟁때 이스라엘 임금은 페카, 유다임금은 아하즈였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성경에서는 아하즈가 이스라엘 임금으로 표현되어 있어서 제가 잘못 이해하고있는 것인지 궁금해서 질문을 올립니다. <이사야서>를 공부하면서 몇 년전에도 의문 들었었는데, 오늘 다시 이사야서와 병행하여 읽으면서 질문을 올립니다. 빠른 답변을 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태그 #2역대 28,19, #시리아-에프라임전쟁 #페카 #아하즈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4/500)
[ Total 24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
  • 이정임 (rmskfk) 쪽지 대댓글

    찬미예수님! 백영숙님을 위해 기도 드립니다. 소수의 히브리 말 수사본과 고대 번역본들에는 "이스라엘 임금"이 "유다 임금"으로 되어 있다. 아하즈가 남 왕국 유다 임금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원문에 더 가까울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역대기 저자의 독특한 견해에 따르면 남 왕국 유다만이 진정한 이스라엘이기 때문에, 비록 잘못을 저질렀다 할지라도 아하즈를 이스라엘 임금으로 부를 수 있는 것이다. (주석성경 각주)

    2021-03-23 추천(0)
  • 박윤식 (big-llight) 쪽지 대댓글

    찬미예수님! 백영숙님을 위해 기도 드립니다. 역사는 최대한 사실에 근거해야 합니다. 아하즈는 유다 임금이지 이스라엘 임금이 아닙니다. 역대기 28장 19절에는 이스라엘 임금 아하즈라고 되어 있지만, 1절에는 아하즈가 임금이 되어 예루살렘에서 열여섯 해 다스렸답니다. 당시에 예루살렘은 유다의 중심 도시이고 이스라엘의 중심은 사마리아였습니다. 그리고 16절에는 아하즈가 아시리아에 도움을 청하는데, 그 이유는 에돔인들이 유다로 치고 들어와 포로들을 구출하기 위함이었답니다. 이렇게 내용으로는 아하즈는 이스라엘이 아닌 유다 임금이었습니다. 그러니 그를 이스라엘 임금으로 기록한 것은 역대기 저자의 오류일 것 같습니다. 더구나 아하즈는 기원전 715년까지 임금으로 있다가 히즈키야한테 넘깁니다(2역대 29,1). 그러나 이스라엘은 기원전 722년에 이미 아시리아에 망해 버립니다. 그리고 열왕기에는 정확히 '유다 임금 요탐의 아들 아하즈가 임금이 되었다'(2열왕 16,1).라고 합니다. [계속]

    2021-03-23 추천(0)
  • 박윤식 (big-llight) 쪽지 대댓글

    [계속] 또 유다 임금 아하즈 제십이년에 엘라의 아들 호세아가 사마라아에서 이스라엘의 임금이 되어(2열왕 17,1), 등도 참조하시면 합니다. 이 호세아가 이스라엘의 마지막 임금입니다. 이상의 내용에서 아하즈는 명백하게 이스라엘이 아닌, 유다의 왕임에 틀림이 없기에 2역대 28,19는 저자의 오류로 봐야할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주석성경 내용대로 남 왕국 유다만이 진정한 이스라엘이기에 아하즈를 이스라엘 임금으로 할 수 있다는 이유도 그 나름은 이해가 됩니다. 하지만 역사는 기원전 922년에 북 이스라엘에는 예로보암, 남 유다에는 르하브암으로 통일 왕국이 엄연히 분단된 나라가 됩니다. 이것이 역사입니다. 역사는 기록된 역사로 보아야하기에 오류는 정정되어야 합니다. 참조가 될 것 같아 주석성경 내용에 저의 의견을 첨언합니다. 그저 하나의 의견으로 봐 주시면 합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

    2021-03-23 추천(0)
  • 맨 처음 이전 1 다음 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