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구약] 성지에서 만나는 성경 말씀: 모압 여자 룻의 속량과 수숙혼(嫂叔婚) | |||
---|---|---|---|---|
이전글 | [신약] 마르코와 함께 떠나는 복음 여행: 섬기는 사람, 모든 이의 종이신 예수 그리스도( ... | |||
다음글 | [신약] 묵시사회를 살아가는 신앙인: 봉인을 열다(묵시 6,1-8) | |||
작성자주호식
![]() ![]() |
작성일2024-08-13 | 조회수148 | 추천수0 | |
[성지에서 만나는 성경 말씀] 모압 여자 룻의 속량과 수숙혼(嫂叔婚)
룻기에는 나오미의 밭과 룻의 수숙혼이 모두 속량의 대상으로 나오지만(4,3-6), 사실 수숙혼이 속량 문제와 관련되는 건 룻기에만 등장합니다. 밭의 속량은 레위 25,23-31에 규정되어 있으나, 과부의 속량에 관한 율법은 오경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신명 25,5-10의 수숙혼도 방계 친족이 아닌 직계 형제 간에 적용되던 율법입니다. 그런데 룻에게는 보아즈보다 “더 가까운 구원자”(룻 3,12)가 있었기에, 율법에 의하면 보아즈는 첫 번째 대상자가 아니었습니다. 또한 고인의 형제가 수숙혼을 거절한다 해서 그 의무가 다음 형제나 친족에게 자연스레 넘어갈 수 있는 것도 아니었습니다. 창세 38장에 등장하는 유다의 며느리 타마르의 경우는 직계 형제들이 차례로 수숙혼을 한 뒤 세상을 떠났기에 그 의무가 계속 넘어갔던 것입니다. 만약 그 의무가 한 형제의 거절로 다음 형제나 친족에게 쉽게 넘어갈 수 있는 거였다면, 그 의무를 거절한 형제에게 침을 뱉어 수치를 주게 한 신명 25,9의 조치는 애초에 정당한 게 아니었을 터입니다. 더구나 신명 25,7에 따르면, 과부가 나서서 시숙의 의무 이행을 촉구할 수 있는데, 룻기에서는 룻도 나오미도 보아즈에게 그런 촉구를 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들은 ‘밤을 틈 타’ 보아즈의 구원자 권리 수행을 유도하는데, 보아즈가 스스로 그리 하리라고는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보아즈보다 우선권을 지녔던 다른 친족은 밭의 속량과 함께 ‘과부의 속량’, 곧 룻을 구원해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습니다(룻 4,5-6).
그러므로 룻의 수숙혼은, 전적으로 유다인 시어머니와 이방인 며느리 사이에 형성된 특별한 고부 관계에 감동한 보아즈가 자비심으로 행한 결과입니다. 보아즈는 밭의 속량권에 룻의 수숙혼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걸 알면서도, 친족으로서 도덕적 의무감에 이 둘을 묶은 듯합니다. 말하자면, 법적 강제력은 없지만 그 임무를 행하여 고인이 된 나오미의 남편 엘리멜렉의 이름을 잇고 나오미에게는 며느리와 자손을, 룻에게는 보호막을 제공해주려 한 겁니다.
이렇게 상대방에 대한 연민과 자비의 마음은 사랑으로 발전하여 이후 룻과 보아즈의 후손은 다윗 가문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결국엔 죽음보다 강한 사랑으로 인류를 위하여 스스로 희생하신 구세주의 계보로 성화되기에 이르렀습니다.
* 김명숙 소피아 -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박사, 광주가톨릭대학교 구약학 교수, 전 한님성서연구소 수석연구원. 저서 「에제키엘서」 「예레미야서 1-25장」 「예레미야서 26-52장」 「구세사 산책: 에덴에서 약속의 땅까지」
[2024년 8월 11일(나해) 연중 제19주일 의정부주보 2면, 김명숙 소피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