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묻고답하기

제목 Re:민수기 30장 카테고리 | 성경
이전글 답변 Re:명절 연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다음글 질문 질문드립니다  
작성자유경록 쪽지 캡슐 작성일2025-09-28 조회수443 추천수0 신고

 

 

 

- 공동 번역

 

- NAB

- 개신교 성경

 

---------

 

1) 어형별(단어순) 상세 분석 — 형태 · 어근 · 품사 · 문법 정보

(각 항목: 표기 — 해석 — 품사/어근/형태 설명)

  1. וְ — “그리고/그리고 만일(연결)”

    • 품사: 접속사 (waw + 접속)

    • 기능: 앞절과 연결(대등 접속). 조건절의 시작에서 단순 접속.

  2. אִם־ (’im) — “만일, ~라면”

    • 품사: 조건부 접속사

    • 기능: 조건절 도입.

  3. הַחֲרֵשׁ (ha-cha·resh) — “(곧) 침묵함(≒ ‘완전 침묵’)”

    • 품사: 아주 중요한 형태infinitive absolute (הַ + הַטְעָם형 הַחֲרֵשׁ) 또는 같은 어근의 명사형으로 보이는 형태

    • 어근: ח־ר־ש (חרש: ‘침묵하다, 잠잠하다’)

    • 문법적 역할: 강조적 용법 — 이후 동사(완료/미완료)에 앞서 놓여 그 동작을 강조(= “완전히/정말로 침묵한다”)

    • 주의: 고전 히브리어에서 inf. absolute + (imperfect/perfect) 조합은 강조(강화) 용법을 담당.

  4. יַחֲרִישׁ (ya·ḥa·rîš) — “그가 침묵한다/말이 없다”

    • 품사: 동사

    • 어근: ח־ר־ש

    • 어형(Stem/Binyan): Hiphil(히필) imperfect 3남성 단수 (또는 Piel/Hiphil 계열의 형식적 표지로 분석되는 경우도 있으나, 구약 어형사전·주석들은 여기서 Hiphil imperfect로 파악하여 ‘그가 (침묵을) 행한다/유지한다’ 고 해석함)

    • 의미 음영: 히필은 본래 ‘사역·원인’ 뉘앙스가 있으나, 일부 동사에서는 히필 형태가 ‘침묵을 취하다/침묵을 지키다(hold silence)’ 같은 상태·행위로 사용됨(여기서는 ‘그가 (반대·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침묵한다’).

  5. לָהּ (lāh) — “그녀에게/그녀에 관하여”

    • 품사: 전치사 + 3인칭 여성 단수 소유·간접목적어 접미사(‘to/for her’)

    • 기능: ‘침묵하는 대상/향’ — “그(남편)가 그녀에 대해 침묵한다.”

  6. אִישָׁהּ (’îshah) — “그녀의 남편(her husband)”

    • 품사: 명사 + 소유 접미사

    • 어근/기본형: אִישׁ (’îš, “남자, 남편”) + 소유 접미사 -הּ (3인칭 여성 소유 → ‘her’)

    • 형태·역할: 주어. 구문상 VSO(동사-목적어-주어) 어순이기 때문에 동사 뒤에 주어가 옴(히브리어에서 흔한 어순).

  7. מִיּוֹם אֶל־יוֹם (mi-yom el-yom) — “날에서 날까지 = 날마다/하루하루(=from day to day)”

    • 구성: מִ (from) + יוֹם (day) … אֶל־יוֹם (to day)

    • 품사: 시간부사구(부사적 구문). ‘계속성/연속’을 표시.

  8. וְהֵקִים (ve-he·qîm) — “그리고(그는) 확정한다/세운다(=확인·인정한다)”

    • 품사: 동사 (접속와 + 동사)

    • 어근: ק־ו־ם (קום, ‘일어나다, 세우다’)

    • 어형: Hiphil perfect (3ms) 또는 히필 계열 형태 — 의미: ‘(법적·형식적으로) 세우다, 확정하다, 유효하게 하다’ → ‘그(남편)가 그 서원을 확정(인정)한다’

    • 메모: 앞의 ‘וְ’는 단순 접속(‘그리고’)로 읽으면 자연스러움(와서 이야기 흐름을 잇는 역할).

  9. אֶת־כָּל־נְדָרֶיהָ (’et-kol-nə·dā·re·hā) — “그녀의 모든 서원들”

    • אֶת־ : 목적어 표지(지시사)

    • כָּל־ : ‘모든’(전체화사)

    • נְדָרֶיהָ : נֶדֶר (nēder, ‘서원’)의 복수형 + 소유 접미사 -הָ (3f) → ‘her vows’

    • 문법: 동사의 직접목적어(‘그가 확정하는 것’) — אֵת 표지로 명시.

  10. אוֹ — “또는/혹은”

    • 접속사(대등).

  11. אֶת־כָּל־אִסָּרֶיהָ (’et-kol-is·sā·re·hā) — “또는 그녀에게 있는 모든 구속(맹세·약속)”

    • 어근: אסר (אסר/איסר 관련, ‘묶다, 구속하다’ → 여기서는 ‘맹세·구속된 것’ 의미)

    • 형태: 명사 복수 + 소유 접미사 = ‘her bonds/pledges/obligations’.

  12. אֲשֶׁר (’a·sher) — “~하는 것(관계대명사: which/that)”

    • 기능: 관계절 도입(‘…which are upon her’).

  13. עָלֶיהָ (’a·le·hā) — “그녀 위에/그녀에게(속한)”

    • 전치사 עַל + 3f 접미사 → ‘that are upon her / binding on her’.

  14. הֵקִים (he·qîm) — “(그는) 확정하였다(=established them)”

    • 위(8)과 동일한 동사(히필). 여기서는 목적어를 생략하지 않고 바로 뒤에 אוֹתָם(them)을 둔다 — 동사의 재진술(되풀이)로 확정·완료 의미를 강조.

  15. אוֹתָם (’ō·tām) — “그것들(그 맹세들을) → them” (3mpl 목적격 인칭대명사)

    • 기능: 동사의 목적어(대명사형). 히브리어에서 실물 목적어 + 대명사 병행은 흔한 강조/명확화 장치(doubling/clitic-doubling).

  16. כִּי־ () — “왜냐하면/즉” (인과·설명 접속사)

  17. הֶחֱרִישׁ (he·ḥe·rîš) — “그가(그때) 침묵하였다/말하지 않았다”

    • 어근: ח־ר־ש

    • 어형: Hiphil perfect (3ms) (또는 Hiphil 계열의 다른 완형) — Blue-letter 등 주요 사전이 해당 형태를 히필의 완형으로 제시. 번역상 ‘그가 침묵했기 때문에…’로 읽힘.

    • 메모: 구절 말미에 ‘완료 시상(perfect)’으로 사건을 배경·원인으로 제시.

  18. לָהּ — “그녀에게(대하여)” (전치사+3f 접미사)

  19. בְּיוֹם (be·yom) — “그 날에/on the day”

  20. שָׁמְעֹו (sham·’ō) — “그가 그것을 들었을 때 / that he heard it”

    • 기본동사: שׁמַע (to hear) + 3ms 목적격 접미사 (-> ‘it’) → here analytic idiom: “on the day of his hearing it” = “on the day he heard (of it / her vow).”

--------

 

 

1. "서원"(נֶדֶר, neder)

  • 히브리어 **נֶדֶר (neder)**는 “자원해서 하나님께 약속하는 것”을 뜻합니다.

  • 일반적으로 특별한 헌신, 제물, 금식, 봉사 등을 하나님께 바치겠다고 약속하는 행위입니다.

  • 예:

    • 창세기 28:20-22 → 야곱이 벧엘에서 "하나님이 나와 함께하시고 지켜주신다면, 내가 반드시 하나님께 십일조를 드리겠습니다"라는 서원을 합니다.

    • 사무엘상 1:11 → 한나가 아들을 주시면 하나님께 바치겠다고 서원합니다.

👉 즉, "서원"은 하나님과의 약속(positive vow)입니다.


2. "서약한 모든 맹세"(כָּל־אִסָּר אֲשֶׁר אָסְרָה)

  • 여기서 핵심 단어는 אִסָּר (issar), “금지, 제한, 속박”이라는 의미입니다.

  • 동사 אָסַר (asar) = "묶다, 속박하다, 금하다".

  • 따라서 **"서약한 맹세"**는 어떤 행위를 하지 않겠다고 스스로 금하는 맹세입니다.

    • 예: "나는 포도주를 마시지 않겠습니다"

    • 예: "나는 머리를 깎지 않겠습니다" (나실인 서약, 민수기 6장)

👉 즉, "맹세(issar)"는 스스로를 속박하는 부정적 서약입니다.


3. 정리 (민수기 30장 맥락)

  • נֶדֶר (neder) = 긍정적 서원 (하나님께 드리기로 약속)

  • אִסָּר (issar) = 부정적 맹세 (스스로를 금지, 제한하는 약속)

➡ 따라서 민수기 30장 14절에서
만일 남편이 날마다 아무 말도 하지 아니하면, 그 아내의 모든 서원과 모든 맹세가 확정된다”는 말씀은, 

남편이 아내의 **긍정적 약속(נֶדֶר, neder)**이나 **부정적 속박(אִסָּר, issar)**을 막지 않으면 그것이 그대로 유효하다는 의미입니다.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