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미사 중 향 치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 | 카테고리 | 천주교 | ||
|---|---|---|---|---|
| 이전글 | 이전 글이 없습니다. | |||
| 다음글 |
성경과 성서 |2|
|
|||
작성자박윤식
|
작성일2025-10-20 | 조회수62 | 추천수0 | 신고 |
|
1. 향을 치는 이유 일반적으로 그리스도교에서도 전례 거행시 분향을 한다. 분향은 구약 시대부터 이어져 온 유서 깊은 경신행위로서 하느님께 올리는 공경과 정성의 표시이다. 사람이나 물건에 분향할 때에는 그 대상의 거룩함을 드러내어 하느님께 바친다는 의미가 있다. 2. 향을 치는 때 가톨릭에서는 미사 중 입당행렬, 미사 시작 전, 복음 선포, 예물 준비, 성체와 성혈 거양 시 분향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아침 기도, 저녁기도, 장례 예식, 성체강복 예식 및 여러 준성사 때도 분향을 할 수 있다. 할 수 있다곤 해도 매번 하는 것은 아니고 보통 사순, 부활 시기나 축성 예식이 있는 등 특정 전례, 혹은 특별히 공경을 표할 때 주로 사제가 분향을 한다. 그 중 미사 때의 분향을 보면, 입당 때는 제대 앞에서 절을 한 뒤 제대를 향해 분향할 수 있다. 만약 부활 시기라 파스카 초(부활 초)가 있다면 파스카 초에도 분향한다. 복음 선포 때는 ‘복음집’에도 분향할 수 있다. 제대는 물론 파스카 초와 복음집에 분향하는 것은 이 물건들이 하느님을 위하여 성스럽게 구별된 것임을 드러내는 증거 행위다. 성찬전례 때는 빵과 포도주를 바치는 기도를 한 후 사제가 예물과 제대에 분향할 수 있다. 향을 넘겨받은 봉사자(복사)가 사제에게 분향하고 교우들에게도 분향한다. 그리고 사제가 성체와 성혈을 각각 높이 들어 보일 때 복사가 성체와 성혈을 향해 분향한다. 마지막으로 성체거동이나 성체강복 때 분향한다. 3. 미사 때 분향에 대한 일반 상식 가톨릭에서 향을 피우는 향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탁상식 향로가 아닌, 사슬에 달린 원형 또는 병형의 향로에 향목을 태워 분향한다. 또 사슬에 달린 이동식 향로이다 보니 연기를 내기 위해서 허공을 치듯이 향로를 흔드는데, 그래서 그런지 가톨릭에서는 ‘향을 피운다/태운다’라고 하지 않고 ‘향을 친다.’라고 많이 표현한다. 특히 장례 미사 때에는 망자의 관 앞에서도 향을 친다. 망자가 거룩한 하느님의 자녀임을 드러냄과 동시에 그 영혼을 하느님의 품 안에 받아달라는 기도의 표현이다. 그 외에도 명절당일 새벽미사 한정으로 제대 앞에 탁상식 향로를 갖다놓고 거기에 불만 피운 뒤 예물봉헌 예식때 신자들이 그 옆에 있는 향을 집어든 뒤 향로에 뿌리게 하기도 한다. |
||||
|
태그
미사,분향,전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