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RE:348] 가톨릭대사전에서 | 카테고리 | 천주교 | ||
---|---|---|---|---|
이전글 | 이전 글이 없습니다. | |||
다음글 | 관면혼에 관하여 | |||
작성자주호식 신부 | 작성일1999-08-21 | 조회수1,024 | 추천수0 | |
향을 태우는 관습은 근동을 포함한 동양의 관습으로 이스라엘 역사의 초기에는 없었다. 후기에 와서 가나안 지방의 관습을 도입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최초의 기록은 출애굽기(30:9)에 나오며, 이것이 이스라엘의 종교의식(宗敎儀式)에 도입된 것은, 기도와 희생을 가장 자연적이고 아름답게 상징하고 있기 때문이다. 레위기(16:20)에 따르면, 향은 유향(乳香, frankincense)을 비롯한 각종 향료에다 방부제용 소금을 썩어 잘 빻은 가루로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의식에 사용한 향은 번제물(燔祭物), 희생제물의 지방(脂肪), 곡식, 상징적 제물 등과 함께 태워지거나 향 하나만을 태우기도 하였다. 향만을 피우는 경우에는 특별히 만들어진 분향단(焚香壇)(출애 30:1-10), 황금제단(민수 4:11), 향로속에서 태워진다. 신약에서는 루가복음(1:8-12)에서만 분향에 대한 언급이 보인다. 그 뒤엔 그리스도 교회에서 향이 별로 쓰인 것 같지 않다. 오히려 이교도들이 많이 사용하였다. 황제들은 자신에게 분향된 사실로 인하여 신성(神性)을 얻었다고 생각했고, 박해시대에는 많은 신자들이 황제의 동상 앞에 분향하여 충성심을 보이도록 강요당하였다. 당시의 교우들은 이러한 분향을 배교행위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4세기 이후 교회의 전례에서 서서히 향이 사용되기 시작하여 먼저 장례의식에 향이 사용되다가 8세기 경에는 제단, 성직자, 신상심의 축성과 축복의 상징으로, 13세기에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구마식(驅魔式)에서 향을 사용하였다. 17, 18세기에 오자 향은 자연향에서 화학적으로 제조한 것으로 바뀌었다. |
||||
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