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전례/미사

제목 [성월] 성모 성월에 관한 모든 것
이전글 [전례] 성모동산의 꽃과 풀들: 색깔로 성모님을 연상케 하는 꽃들, 수레국화 · 잔대 · ...  
다음글 [전례] 문화사에 따른 전례: 초기 교회에서 사용한 전례 언어와 용기들  
작성자주호식 쪽지 캡슐 작성일2020-05-11 조회수8,298 추천수0

성모 성월에 관한 모든 것


구원의 전구자이며 영적 어머니, 그 믿음과 겸손의 삶 따르고자

 

 

아름다운 꽃들이 만개하는 5월, 그리스도인들은 성모 마리아를 기억하고 묵상한다. 침묵과 기도, 순명과 충실로 살아온 성모 마리아의 신앙적 모범을 따르기 위해 성모성월을 지내고 있기 때문이다. 성모 마리아의 따뜻한 사랑이 느껴지는 5월을 더욱 의미있게 보낼 수 있도록 성모 성월의 모든 것을 알아본다.

 

 

교회의 성모 신심

 

하느님 아들을 잉태하고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죽음을 맞는 순간 자리를 지켰던 성모 마리아. 이후 사도들과 기도하며 교회의 시작을 함께한 성모 마리아는 교회 안에서 전구자이자 영적인 어머니로 받아들여져 왔다. 이러한 성모 마리아에 대한 공경은 교부 시대 때부터 이어져왔다. 431년 에페소 공의회에서는 마리아가 평생 동정이었으며 ‘하느님의 어머니’임을 선언했다. 이후 16세기에 이르러 종교개혁과 함께 성모 마리아 공경에 대한 문제가 검토됐고, 성모 신심이 장려되는 계기가 됐다. 1568년에는 성 비오 5세 교황이 성무 일도에 성모송을 삽입시켰으며 이듬해에는 묵주의 기도를 표준화해 보급하기도 했다. 이처럼 16세기 후반에 강화된 성모 신심은 20세기에 이르기까지 가톨릭교회의 특징적인 신심으로 자리 잡게 됐다. 1917년 파티마에서 성모 발현이 이뤄진 이후 성모 신심은 더욱 널리 전파됐다. 비오 12세 교황은 파티마 성모 발현 25주년을 맞아 전 세계를 성모 성심에게 봉헌했고 1944년에는 성모 성심을 기념하는 축일을 8월 22일로 고정시키고 서방 전례에 속한 모든 교회가 이 축일을 지키도록 했다.

 

성모 마리아에 대한 공경은 세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성모 마리아의 인격에 대한 공경과 덕행에 대한 공경, 그리고 그리스도의 구원 사업에 온전히 동참하는 성모 마리아의 역할에 대한 공경이다. 이처럼 교회가 마리아를 공경하는 이유는 바로 하느님께 순명한 신앙의 모범을 신자들이 따르도록 권하고자 함이다.

 

 

한국 교회의 성모 신심은 어떻게 시작됐나

 

16세기 후반 유럽에서 성행했던 성모 신심은 17세기에 이르러 유럽 선교사에 의해 중국 교회에 전파됐다. 17세기 초 이탈리아 출신 선교사 롱고바르디 신부는 성모 호칭 기도를 중국어로 번역했고, 부글리오(Buglio) 신부는 북경에서 1676년에 ‘성모소일과’를 간행했다. 또한 1694년에는 수아레즈(Suarez) 신부가 ‘성모영보회’를 간행해 성모 신심을 고취시키고자 했다. 이처럼 중국에 전파된 성모 신심은 18세기에 조선으로 전해졌다.

 

조선대목구 제2대 교구장인 앵베르 주교는 조선교회의 새로운 주보로 ‘원죄 없이 잉태되신 마리아’를 모시고자 했고 1841년 그레고리오 16세 교황의 인가를 받을 수 있었다. 이후 1846년 11월 2일 ‘죄인들의 회개를 위한 무염 성모 성심회’가 설립되는 등 한국 신자들의 성모 신심 운동은 체계를 갖추기 시작했다. 이 단체를 통해 신자들은 정기적으로 기도문을 바치고 죄인들의 회개를 위해 기도했다고 전해진다. 이는 오늘날 각 본당에 남아있는 성모회의 요체가 됐다.

 

아울러 신유박해 때 소각된 서적들 가운데 성모 관련 서적들이 상당 부분 존재했다는 기록들을 통해 한국 신자들의 성모 신심이 얼마나 돈독했는지 추측할 수 있다.

 

성모 신심 운동 및 사도직 활동도 1950년경에 이르러 활발하게 전파됐다. 1953년 ‘푸른군대’가 미국인 군종신부 마태오 제이 스트롬스키 신부에 의해 소개된 것을 비롯해 같은 해 목포 산정동성당에서 ‘레지오 마리애’가 시작됐다. 전쟁이 끝날 무렵에 이 두 단체가 모습을 드러낸 것은 힘들고 고된 현실 가운데서도 신자들이 열심히 신앙생활을 이어갔으며 성모마리아의 은총을 간구했음을 알 수 있다.

 

1953년 5월 31일 목포 산정동본당에서 열린 한국교회 최초 레지오 마리애 쁘레시디움 중 하나인 ‘평화의 모후’ 첫 주회. 가톨릭신문 자료사진.



성모 성월, 어떻게 시작됐나

 

동방교회로서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비잔틴 전례에서는 이미 13세기에 8월을 성모 성월로 지내기 시작했다. 오늘날 ‘성모승천’ 축일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마리아의 잠드심’ 축일을 8월 15일에 지내면서 이 축일을 더욱 뜻 깊게 경축하고자 축일 전 15일은 단식을 하면서 축일을 지내고 축일 후 15일을 축제일로 지낸 것이다.

 

한편 로마를 중심으로 하는 서방교회에서는 만물이 소생하고 꽃이 만발하는 5월을 마리아의 달로 지내는 관습이 있었다. 13세기 말, 스페인 카스티야 왕 알폰소 10세는 자연이 주는 풍요로움과 성모 마리아를 통해 얻는 영적 풍요로움을 연결시켜 5월을 성모 마리아께 기도하는 달로 지낼 것을 권했다.

 

17세기 말에는 이탈리아 피렌체 부근에서는 5월을 성모 마리아께 봉헌하는 성모 신심 단체가 생겼으며, 나폴리 지역에서는 5월 한 달 동안 매일 저녁 성모님께 찬미가를 바치고 성체강복을 하는 행사가 열리기도 했다.

 

이후 1854년 비오 9세 교황이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를 선포한 후에 공식적으로 성모 성월 행사가 거행되기 시작했다. 성모 성월에 대해 성 바오로 6세 교황은 “성모 성월은 전 세계 신자들이 하늘의 여왕에게 사랑을 표현하는 달”이라며 “교회 공동체와 개인이나 가정 공동체는 이 기간 동안 마음에서 우러나는 사랑을 마리아에게 드리고 기도와 찬양을 통해 마리아의 숭고한 사랑을 찬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님의 종이오니 그래도 제게 이루어지소서”라는 신앙고백은 성모 마리아의 믿음과 겸손의 자세를 보여준다. 그림은 프라 바르톨로메오의 ‘수태고지’.

 

 

성모 성월, 어떻게 보내야 할까

 

“주님의 종이오니 그대로 제게 이루어지소서”라는 성모 마리아의 신앙고백은 신앙에 대한 믿음과 겸손의 자세를 보여준다. 그리스도인이라면 고통을 인내하며 끝까지 믿음과 겸손의 자세를 보인 성모 마리아의 모습을 따라야 할 것이다. 참된 성모 신심은 예수님을 삶의 중심에 모시고 사는 일에 있으며 성모 성월을 의미있게 보낼 수 있는 방법은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역대 교황들은 성모 성월 신심을 잘 지켜 가도록 여러 차례에 걸쳐 권장했다. 비오 12세 교황은 교서를 통해 “성모 성월 신심이 엄격한 의미에서는 전례에 속하지 않지만 어떤 의미에서는 전례적 예배 행위로 간주할 만한 신심”이라며 이 신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했고 성 바오로 6세 교황과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마리아 신심 운동이 기적이나 발현에 치우치지 말고 전례적인 공경 안에서 올바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회가 성모 성월을 정한 것은 인간 구원을 위해 간구하는 성모 마리아의 은혜에 감사하기 위한 것이고 성모 마리아의 하느님께 대한 순명과 사랑을 본받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아름다운 5월, 성모 마리아의 모범을 따라 선행과 기도로서 자신을 하느님께 봉헌할 수 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어야 한다.

 

[가톨릭신문, 2020년 5월 10일, 민경화 기자]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