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전례] 전례-기도하는 교회2: 전례? 예배? 도대체 무슨 뜻인가요? | |||
---|---|---|---|---|
이전글 | [전례] 알기 쉬운 전례 상식: 자네, 밥과 국은 제대로 먹었나?(양형 영성체) | |||
다음글 | [미사] 알기 쉬운 미사 전례11: 말씀 전례는 하느님과 우리의 대화 | |||
작성자주호식 | 작성일2024-03-22 | 조회수278 | 추천수0 | |
전례-기도하는 교회 (2) 전례? 예배? 도대체 무슨 뜻인가요?
우리가 말할 때 사용하는 단어에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단어들은 그 말을 사용하는 사람이 -전부는 아니더라도- 어떤 사람인지를 드러냅니다. 예를 들면, ‘예배’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을 보면 개신교 신자라고 쉽게 알 수 있고 ‘미사 참례’라는 단어를 쓰면 천주교 신자라고 알 수 있습니다. 가톨릭교회가 전례와 관련해서 사용하는 단어들의 정확한 뜻을 안다면, 교회가 믿음으로 거행하는 신앙의 신비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우선 ‘예배’와 ‘전례’의 뜻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예배(라틴어 cultus)’는 개신교만의 단어가 아닙니다. 어원이 colere(경배하다)인 예배는 모든 종교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낱말로, 절대적인 존재와 인간의 관계를 드러내는 종교적 행위입니다. 그리스도교적인 의미에서 예배는 하느님과의 관계에서 인간이 취하는 내적인 태도와 외적인 행위를 포함합니다. 여기서 하느님과의 관계는 인간이 하느님과 다른 피조물에 불과함을 인정하고 하느님께 의존하고 있음을 인정할 때 생겨납니다. 예배는 이러한 관계를 내적인 태도와 외적인 행위를 통하여 드러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외적으로 그리스도교적 예배는 신자 혹은 공동체가 그리스도와 함께 아버지께 찬미와 찬양 그리고 흠숭을 드리는 형태로 하느님과의 관계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내적으로는 자신의 삶을 하느님 마음에 드는 영적 예배가 되도록 믿음과 사랑 속에서 바꾸어 나가는 것입니다.
‘전례(라틴어로 liturgia)’라는 말은 고전 그리스어 ‘레이투르기아(leitourgia)’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단어는 사회를 위해 행하는 명예로운 봉사, 공적인 봉사를 의미했습니다. 이러한 봉사가 종교의 영역에서 신들을 위한 공적 예배를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그리스도교는 이 말을 받아들여 그리스도교의 예배라는 뜻으로 사용했으나 가톨릭교회 안에서는 점차 officium(직무)나 ministerium(봉사)와 같은 단어들로 대체되었습니다. 그러다 19세기 중엽 전례 운동의 결과로, 하느님의 백성이며 그리스도의 신비체인 교회가 드리는 공적인 예배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물론 전례라는 단어는 여전히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 낱말이기에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전례’라는 단어 안에는 전례적 행위와 그 모든 구성 요소(장소와 시간, 전례서와 동작, 음악과 예식 등)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례는 일차적으로 교회 공동체가 ‘하느님의 일(opus Dei)’에 참여함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서 교회의 전례 거행 안에서 그리스도께서는 구원을 가져다주는 감각적인 표징을 통하여 몸소 인간을 거룩하게 하시고, 주님의 파스카 신비를 통해서 구원받은 인간은 그리스도 안에서 성부께 감사와 찬미를 드립니다. 그러므로 전례는 일차적으로 인간의 행위를 표현하는 말이 아니라 인간을 구원하시는 하느님의 교회에 대한 봉사를 의미합니다. 이처럼 ‘전례’라는 단어는 하느님께 드리는 찬미와 흠숭인 ‘예배’의 의미를 넘어서 거룩하신 삼위일체 하느님께서 당신 사랑으로 교회를 통하여 이루시는 구원 활동을 표현하는 단어입니다.
다음에는 ‘전례’가 ‘하느님의 일’이라는 표현의 뜻을 좀 더 구체적으로 교회의 가르침 안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하느님께서 교회의 전례 거행 안에서 이루시는 구원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3월 17일(나해) 사순 제5주일 청주주보 3면, 김형민 안토니오 신부(미원 본당 주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