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20 08 31 (월) 평화방송 미사 기도의 창의 색깔을 바꾸어 가며 침의 물질대사의 다스림과 공기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는 것을 구분하여 가르쳐주심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사람에 대한 믿음(연중 32주 월)  
작성자한영구 쪽지 캡슐 작성일2020-10-30 조회수1,889 추천수0 반대(0) 신고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흠숭 하올 삼위일체이신 우리 주님.

오늘 8월 31일 월요일 연중 제22주간 평화방송 정오 미사를 선택하여 참례하였습니다. 미사 전에 서서 아랫배에 힘을 주어 가스를 입으로 토해내려고 시도하였으나 가스가 많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입을 크게 벌려 하품을 하려고 하였으나 하품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입안에 침도 별로 솟아오르지 않아 조금 삼키었습니다.

미사가 시작되자 성령님께서 저의 머리 두정엽 정수리 가운데에 머물러 만져주시어 빛의 생명을 주십니다. 잠 간 주시었습니다. 오늘은 귀 안에서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움직이는 소리도 전혀 들리지 않습니다. 그리고예물 기도에 이은감사송기도에서부터 저의 두정엽 정수리 가운데에서 약간 오른쪽으로 옮긴 전두엽 우뇌 상단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빛의 생명을 주십니다. 두 눈 사이 콧날 경사 양쪽 끝에도 머물러 주시지 않습니다. 다만 오른쪽 코의 인두 윗부분과 아랫부분 세로로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침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시는 것인지 아니면 부비동의 벌집 굴과 나비 굴의 위치를 동시에 머물러 만져주시는 것인지 판단이 서지 않습니다.

미사 통상문 기도 거룩하시도다를 기도드릴 때, 저의 전두엽 우뇌 상단 두정엽에서 가까운 위치 오른쪽에 머물러 우측 옆으로 옮기다가 멈추어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그리고 오른쪽 코의 인두 윗부분과 아랫부분 끝 세로로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이어서 다시 전두엽 우뇌 먼저 위치 멈춘 위치에서 오른쪽 사선으로 아래로 내려와 오른쪽 코의 인두 아랫부분 끝에 멈추어 만져주시면서 빛의 생명을 주십니다. 그리고 이어서 전두엽 우뇌 상단 두정엽에서 가까운 위치 오른쪽에 머물러 만져주다가 다시 사선으로 오른쪽 아래로 내려와 저의 오른쪽 측두엽 관자놀이를 지나 귀까지 내려와 만져주십니다. 그리고 저의 오른쪽 눈썹 오른쪽 끝부분에 머물러 만져주시어 약간 가려움을 느낍니다. 이어서 다시 오른쪽 눈썹 오른쪽 끝 아래 눈물샘 있는 위치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그리고 오른쪽 코의 인두의 아래와 위로 머물러 만져주실 때 저의 코의 비갑개 살갗 점막에 붙어있는 끈끈한 작은 침 덩어리가 있는 것을 느끼게 하여주십니다. 그리고 오른쪽 코의 인두 맨 아랫부분에서 우측으로 오른쪽 눈 아래 눈꺼풀을 가로로 옮기시면서 만져주십니다. 과거에도 이와 같은 위치에서 만져주신 적이 여러 번 있었습니다. 이는 모두 빛의 생명을 주시어 침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신 것으로 기억합니다. 부비동 네 곳의 위치를 중심으로 만져주어 다스려주시는 것이 아니고 침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시기 위하여 코의 인두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머물러 만져주시는 것이라고 판단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오른쪽 눈썹 우측 끝과 그 아래 만져주시는 것도 과거처럼 눈물샘을 만져주시어 눈물의 분비를 촉진하여 주시는 것이라고 생각을 하였습니다. 미사가 끝날 무렵에 항문에서 방귀가 나왔습니다.

오늘의 특색은 양쪽 귀 안의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움직이는 소리를 전혀 들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오른쪽 측두엽 관자놀이 부분까지 내려와 머물러 만져주신 것도 침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시기 위한 것이라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S상 결장과 직장에 그 침의 물질대사의 효과가 나타나 방귀가 나온 것이라고 상상하였습니다. 부비동의 네 곳에 머물러 만져주시는 것이 아닌 것으로 상상하였습니다. 부비동은 공기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침의 물질대사와 구분하여 주시기 위하여 오늘 이처럼 과거에 여러 차례 다스려주시었던 그 위치에 머물러 다스려주신 것이라고 상상합니다. 미사 중에는 두 눈 사이 콧날 경사 끝 양쪽에 머물러 주지 않았다고 기억합니다. 이곳에 머물러 만져주는 것은, 성령님께서 저의 몸에 죄의 상처가 있는 곳에 생명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행위임을 느낌으로 반복하여 알게 하여 믿게 된 지가 2년이 지났습니다. 지금은 이곳에 머물러 주시는 것이 코 부비동의 벌집 굴에 머물러 만져주시어 공기 습도 온도 압력을 다스려주시기도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한 곳에서 두 가지 다스림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1년여 전에 성령께서 두 눈 사이 콧날에 머물러 그곳의 뼈를 긁는 느낌을 주신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미사 중에 다스려주신 것을 말을 하여 녹음을 하는 지금에는 두 눈 사이 콧날 양쪽 끝 살갗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기도의 창에 파란색 구름이 나타납니다. 오른쪽 눈썹 왼쪽 부분에 머물러 만져주시는 느낌이 옵니다. 기도의 창에 파란색 구름이 나타난 것은 저의 생각이 맞는다는 표시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상상합니다.

 

흠숭 하올 삼위일체이신 우리 주님.

오늘 이처럼 코의 인두를 중심으로 하여 오른쪽 측두엽 관자놀이 부분 오른쪽 눈썹 끝 눈물샘이 있는 부분 오른쪽 눈 아래 눈꺼풀의 우측으로 옮기시면서 만져주신 것들이, 침의 물질대사와 눈물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신 것이라는 표시로 바로 전에 파란색 구름을 보여주셨습니다. 다스려주시는 그 생명 지식을 올바르게 제가 알도록 이처럼 과거에 다스려주시었던 것을 다시 다스려주시니 감사합니다. 아멘. 지금도 저의 콧날에서 아래 콧날 뼈끝에 머물러 주시는 느낌이 옵니다. 그리고 오른쪽 눈썹 왼쪽 끝에도 머물러 만져주시는 느낌이 옵니다. 오른쪽 눈썹이 있는 위치는 앞이마의 맨 아랫부분이므로 부비동의 이마 굴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렇다면 지금은 부비동의 이마 굴에 머물러 만져주시는 것 같기도 합니다. 전두엽 우뇌도 만져주시는데 그 위치가 우뇌 앞이마 살갗 오른쪽 끝 위치에서 아래로 사선으로 왼쪽으로 저의 오른쪽 눈썹의 왼쪽 끝을 거처, 코의 인두 코뼈의 오른쪽 우측 끝에까지 연결하여 만져주십니다. 이는 또 부비동의 나비 굴을 만져주시는 위치입니다. 나비 굴은 아주 머리 안으로 깊이 들어간 위치에 있다고 기억합니다. 지금은 부비동을 중심으로 머물러 만져주시는 것 같습니다.

이처럼 다스려주신 것을 기억하기 위하여 녹음하는 지금 이때도 부비동을 중심으로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빛의 생명으로 다스려 부비동에 공기 온도와 습도 압력을 다스려주시니 감사합니다.

지금 저의 전두엽 우뇌 앞이마 오른쪽 끝부분 위와 지금 저의 오른쪽 코뼈의 오른쪽 끝 위치 움푹 들어간 곳과 사선으로 연결하여 만져주십니다. 다시 오른쪽 눈썹의 왼쪽 위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그 느낌이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시기 위한 눈썹에 머물러 만져주시는 것하고 완전히 다릅니다. 이제 양쪽 귀 안에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움직이는 습도가 찬 울림소리가 들립니다. 양쪽 귀에서 계속 들립니다. 다시 오른쪽 눈썹 중간 약간 아래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이마 굴에 해당하는 위치인 것으로 기억합니다. 두정엽 정수리 뒷부분 머리털 가마가 있는 위치에서 윗부분까지 세로로 만져주십니다. 빛의 생명을 주시는 것으로 상상합니다.

 

저의 기도의 창에 오른쪽 우뇌 전체가 희고 뿌연 어떤 안개 속에 있는 느낌이었습니다. 계속되었습니다. 심호흡하자 오른쪽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움직이는 소리가 2번 들렸습니다. 지금도 또 들렸습니다. 연속하여 양쪽 귀에서 들렸습니다. 소리가 작아질 때까지 계속 들었습니다. 희고 뿌연 색깔의 기도 의 창이 천천히 색깔이 없는 기도의 창으로 바뀌었습니다.

 

흠숭 하올 삼위일체이신 우리 주님.

오늘도 이처럼 미사 후에 다스려주신 것을 기억하기 위한 녹음을 할 때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다스려주시어 감사합니다. 주님을 더욱더 사랑합니다. 오늘 이처럼 다스려주시어 성장하고 발전한 저의 영혼과 몸과 침과 눈물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신 것과 부비동 네 곳 위치에 머물러 공기 온도와 습도와 압력을 조절하는 다스림의 지식을 가르쳐주신 것과 이 모두를 주님께 바칩니다. 지극히 높으시고 지극히 거룩하신 주님의 뜻으로 이처럼 다스려주시어 감사합니다. 주님을 더욱더 사랑합니다. 아멘.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 와 항상 영원히 아멘.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코 기도의 구조

 

눈물샘 구조

부비동

 

Paranasal Sinus: Definition, Location, Anatomy, Function

...www.therespiratorysystem.com p...

 

게시일 3 16 2018 에 의해 아래 관리자 상부 호흡기

 

부비동은 무엇입니까

특정 안면 및 두개골 뼈 내에 위치한 공기가 채워진 구멍을 부비동이라고합니다 [1] . 인간은 4 쌍의 부비동, 정면, 상악, 접형 및 사골을 가지고 있으며, 모두 비강 의 호흡 영역에서 뻗어 있으며 [2] 발견 된 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부비동은 어디에 있습니까?

세 개의 두개골 뼈, 즉 정면, 사골 및 접형 뼈와 쌍을 이루는 안면 뼈 상악에는 각각 쌍을 이루는 부비동이 있습니다.

전두동 (전두골 내) : 이마의 중간 아래 부분에서 시작하여이 두 개의 부비동이 눈과 눈썹에 닿습니다 [3] .

 

(상악 뼈 내) 상악동 : 모든 부비동 중 가장 큰 [2] , 두 공동은 원뿔 윗니 위에 코의 양측에 위치되며, 뺨 아래 [4] .

 

(사골 뼈 내) 사골동 : ~ 18 [5] 공기 전지는 눈 사이의 코의 양측에, 사골 미로에 존재하는 [6,7] . 코의 한쪽은 다른 쪽보다 더 많은 수의 공기 세포를 가질 수 있습니다.

 

접형동 (접형골 내) : 모든 부비동 중 가장 뒤쪽에 위치하며, 사골동 뒤, 뇌하수체와 시신경 근처에 위치합니다 [8] . 비강 중격은 왼쪽과 오른쪽 상악동을 분리합니다 [9] .

 

부비동의 해부학

개발

상악동과 사골동은 출생시 존재하며 임신 3 ~ 4 개월 경에 형성되기 시작합니다 [10] . 그들은 생후 처음 몇 년 동안 더욱 발전합니다 [11]. 기초적인 접형동은 출생시 존재하며 5 세까지 완전히 형성 (공압 화)됩니다 [6] . 전두동은 7-8 세 정도에 마지막으로 나타나며, 개인이 사춘기 후반에 도달 한 후에 만 공압 화가 완료됩니다 [8, 10] . 이로 인해 부비동의 모양과 크기는 일반적으로 성인기에 사람마다 다릅니다 [8] .

 

배수

두 개의 전두동 은 반월 열공에서 비강의 측벽에서 열리는 전두 관을 통해 배수됩니다 [2] . 그들의 배액 경로는 전두동 배액 경로 (FSDP)가 어떻게 발달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2] .

 

상악동 또한 반월 열공 밖으로 열 비강 내로 배출 바로 정면 부비동 이하, [2, 14] .

 

자신의 위치에 따라, 두 쌍의 전방 및 중앙 사골동 중간에  비강 (外耳道)으로 흘러든다. (반월 열공 각각 사골 수포) [2] 반면 맨 위의 후방 사골동 배수구 (外耳道) [9] .

 

쐐기 부비동은 sphenoethmoidal 세스 내로 드레인 바로 위에 맨 위 조개 [9] 비강의 상부 후벽에 있다.

 

내벽

비강 벽과 마찬가지로 모든 부비동에는 점액이 있고 [14] 내부 표면을 덮고있는 섬모 (작은 머리카락과 같은 구조)가 있습니다. 그 안에서 생성 된 점액은 섬모에 의해 지속적으로 비강으로 스윕됩니다 [8] .

 

기능 : 부비동이하는 일

그들의 목적은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비강이 확장되어 호흡 중 공기의 정화 및 가습을 돕는 것이 주요 기능 중 하나 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2] . 부비동의 점액 내벽은 모든 먼지와 기타 유해한 입자가 점액에 달라 붙어 비강을 통해 몸 밖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공기를 정화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6] .

 

세 가지 추가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두개골의 무게 감소 [6]

더 나은 사운드 및 스피치 생성을위한 공명 챔버로 작동 (다른 사람들의 소리를 다르게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한다고 믿어 짐) [1]

외상으로부터 얼굴과 얼굴 뼈를 보호 (에어백처럼 작동) [15]

관련 조건

부비동염 : 부비동이 비강에서 직접 계속됨에 따라 독감이나 비염과 같은 상부 호흡기 감염이 부비강으로 쉽게 퍼져 부비동염이라는 상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부비동 두통, 안면 통증 또는 압통, 코 막힘 느낌 등이 있습니다 [16] . 상악동에 가장 일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17] ,이 부위의 염증 또는 감염은 상악 신경에 의해 자극을 받기 때문에 상악 치아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9] .

 

부비동 통로가 막히면 점액이 축적되어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8] .

 

Paranasal Sinuses

Published on March 16th 2018 by admin under Upper Respiratory Tract

 

Paranasal Sinus: Definition, Location, Anatomy, Function

...www.therespiratorysystem.com p...

 

 

What are the Paranasal Sinuses

Air-filled cavities located within specific facial and skull bones are known as paranasal sinuses [1]. Humans have four paired paranasal sinuses, frontal, maxillary, sphenoid, and ethmoid, all extending from the respiratory area of the nasal cavity [2], and named after the bones they are found in.

 

Where are the Paranasal Sinuses Located

Three of the cranial bones, namely, the frontal, ethmoid, and sphenoid bones, and the paired facial bone maxilla, each contain a paired sinus:

Frontal Sinus (within the frontal bones): Starting from the lower middle part of the forehead, these two sinuses reach over the eyes and eyebrows [3].

 

Maxillary Sinus (within the maxillary bones): The largest among all the paranasal sinuses [2], these two conical cavities are located on the two sides of the nose, above the upper teeth, and below the cheeks [4].

 

Ethmoid Sinus (within the ethmoid bones): Three to eighteen [5] air cells present in the ethmoid labyrinth, on both sides of the nose, between the eyes [6, 7]. One side of the nose may have a higher number of air cells than the other.

 

Sphenoid Sinus (within the sphenoid bones): The most posterior of all the paranasal sinuses, these are located behind the ethmoid sinuses, near the pituitary gland and optic nerves [8]. The nasal septum separates the left and right maxillary sinuses [9].

 

Anatomy of the Paranasal Sinuses

Development

The maxillary and ethmoid sinuses are present at birth, starting to form around the 3rd or 4th month of gestational development [10]. They further develop over the first few years of life [11]. Rudimentary sphenoid sinuses are there at birth, forming (pneumatizing) completely by the age of 5 years [6]. The frontal sinuses are the last to appear, around 7-8 years of age, with the pneumatization being complete only after the individual reaches late adolescence [8, 10]. Due to this, the shape and size of the sinuses usually vary from person to person in adulthood [8].

 

Drainage

The two frontal sinuses drain through the frontonasal duct, which opens in the lateral wall of the nasal cavity, at the semilunar hiatus [2]. Their drainage path may vary depending on how the frontal sinus drainage pathway (FSDP) develops [12].

 

The maxillary sinuses also open out at the semilunar hiatus, just below the frontal sinuses, to drain into the nasal cavity [2, 14].

 

According to their location, the two pairs of anterior, and middle ethmoid sinuses drain into the middle nasal meatus (the semilunar hiatus and the ethmoid bulla respectively) [2], while the posterior ethmoid sinus drains into the superior meatus [9].

 

The sphenoid sinuses drain into the sphenoethmoidal recess just above the superior concha [9] in the upper back wall of the nasal cavity.

 

Lining

Like the nasal cavity walls, all the sinuses have mucus [14], and cilia (tiny hair-like structures) covering their inner surfaces. The mucus produced within them is continually swept into the nasal cavity by the cilia [8].

 

Functions: What do the paranasal sinuses do

Their purpose is not yet clearly known; however, being extensions of the nasal cavity, helping with cleaning and humidification of air during breathing is believed to be one of their main functions [2]. The mucus lining of the sinuses helps in purifying the air, as all dust and other harmful particles stick to the mucus, to be brushed out of the body through the nasal cavity [6].

 

Three more functions attributed to them are:

 

Reducing the weight of the skull [6]

Working as resonance chambers for better sound and speech production (they are believed to play a vital role in making different people sound different) [1]

Protecting the face and facial bones from trauma (by working like an airbag) [15]

Associated Conditions

Sinusitis: As the sinuses directly continue from the nasal cavity, infections of the upper respiratory tract, such as the flu, or rhinitis, can easily spread into the sinus cavities, leading to a condition called sinusitis [2]. Characteristic symptoms include a sinus headache, facial pain or tenderness, and feeling of a stuffy nose [16]. Most commonly affecting the maxillary sinuses [17], inflammation or infection in this area may cause pain in the maxillary teeth as both are innervated by the maxillary nerve [9].

 

Any blockage in a sinus passage may cause mucus to accumulate, also leading to bacterial or viral infections [18].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기도의 창 색깔 바꾸어 가르쳐줌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