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연중 제7주간 수요일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2025.02.26)  
작성자조재형 쪽지 캡슐 작성일2025-02-25 조회수135 추천수5 반대(0)

우리는 을 하면서 살아갑니다. 혼자 하는 말은 독백이고, 상대가 있는 말은 대화입니다. 어떤 사람은 대화하고 나면 기분이 좋고, 다음에 또 만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대화를 통해서 뭔가 문제를 해결하고, 배운 것 같은데, 다음에 또 만나고 싶지 않고, 기분이 나쁠 때가 있습니다. 우연히 대화에서 조심해야 할 6가지 태도를 들었습니다. 6가지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과는 대화가 어렵다고 합니다. 첫째는 판단입니다. 이야기를 다 들어보지도 않고, 선입견을 품고 판단하는 겁니다. 예수님께서 태어나실 때입니다. 율법 학자들은 베들레헴에서 메시아가 태어날 리 없다고 이야기합니다. 예수님의 고향 사람들도 예수님의 말씀과 표징은 들어보지도 않고, 예수님을 잘 안다고 이야기합니다. 우리도 피부색으로, 외모로, 직업으로 사람을 쉽게 판단하곤 합니다. ‘내가 너 그럴 줄 알았다.’라고 말한다면 상대방과 대화하는 방법이 잘못되었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둘째는 비난입니다. 율법 학자들은 예수님을 비난하면서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저자는 마귀 두목의 힘을 빌려서 기적을 행하는 것이다.’ 율법 학자들의 비난은 자기들의 기득권을 빼앗길지 모른다는 두려움에서 나왔습니다. 자기들이 할 수 없는 일을 하시는 예수님에 대한 질투에서 나왔습니다. 저도 비난의 유혹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신부님들과 차를 나누어 타고 강화도로 연수 갈 때였습니다. 1호차에 탄 신부님들이 2호차에 있는 신부님들의 허물을 이야기했습니다. 휴게소에서 2호차를 타게 되었는데 거기서도 1호차에 있는 신부님들의 허물을 이야기했습니다. 나중에 화장실 가기도 겁났습니다. 제가 없을 때 저의 허물을 이야기할 것 같았습니다. 누군가의 허물을 자주 입에 올린다면 대화하는 방법이 잘못되었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셋째는 비교입니다. 자녀에게 네 형을 보아라. 얼마나 잘 하니. 내 친구를 보아라. 힘든 가운데서도 공부를 얼마나 잘 하니.’라는 말을 자주 한다면 이는 자녀의 마음에 상처를 주는 겁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도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막지 마라. 내 이름으로 기적을 일으키고 나서, 바로 나를 나쁘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우리를 반대하지 않는 이는 우리를 지지하는 사람이다.” 하느님 앞에 우리는 모두 한 형제, 자매입니다.

 

넷째는 강요입니다. 자녀들의 능력과 재능을 보지 않고, 부모님이 원하는 걸 요구하면 자녀에게 큰 상처를 주기 마련입니다. ‘우리 집안은 모두 법대를 갔으니, 너도 법대를 가야 한다.’라고 말하면 아이의 재능을 가로막게 됩니다. 부모의 강요 때문에 법을 공부하지만, 사법시험에 실패하면 부모도 크게 실망하게 됩니다. 강요는 당장은 효과가 있겠지만 창의력이 사라지면 경쟁력이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다섯째는 충고입니다. 자녀들에게나, 부하직원에게 나 때는이라는 말을 자주 한다면 대화하는 방법이 잘못되었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아직 미혼인 자녀에게 일찍 결혼하는 것이 좋다고 말하는 것도 큰 부담이 됩니다. 저는 주민등록증이 나온 사람에게는 웬만하면 충고하지 않는 편입니다. 성인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부부가 운전할 때도 충고는 조심해야 합니다. 자칫 잘못하면 부부싸움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충고를 잘못하면 이런 말을 들을 수 있습니다. ‘너나 잘하세요.’

 

여섯 번째는 합리와입니다. 판단하고, 비난하고, 비교하고, 강요하고, 충고하면서 미안한 마음이 들 수 있습니다. 그럴 때 이렇게 합리화하기도 합니다. ‘그러게, 잘하지! 그랬어. 네가 잘했으면 내가 이렇게 말했겠니.’ 대화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고 합니다. 대화는 상대방과 소통하는 거라고 합니다. 2000년 전에 빌라도는 손을 씻으면서 예수님의 죽음에 책임이 없다며 합리화하였습니다. 예수님에게 십자가형을 선고한 것은 이스라엘 백성과 대사제가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했기 때문이라고 하였습니다. 2025년의 대한민국에서도 합리화를 하는 사람을 볼 수 있습니다. 비상계엄은 국회의원들이 의회 독재를 해서 경고 차원에서 했다고 합니다. 비상계엄은 국민에게 경각심을 주기 위해서 했기에 계몽령이었다고 합니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으니, 아무 잘못도 없다고 합니다.

 

지혜는 자기의 아들들을 키워 주고 자신을 찾는 이들을 보살펴 준다.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은 생명을 사랑하고 이른 새벽부터 지혜를 찾는 이들은 기쁨에 넘치리라. 지혜는 곧 돌아와 그를 즐겁게 하고 자신의 비밀을 보여 주리라. 그가 탈선하면 지혜는 그를 버리고 그를 파멸의 손아귀에 넘기리라.”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