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2025.03.23) | |||
---|---|---|---|---|
이전글 | 매일미사/2025년 3월 23일 주일[(자) 사순 제3주일] | |||
다음글 | 헌시의 표본인 마리아 | |||
작성자김중애
![]() ![]() |
작성일2025-03-23 | 조회수101 | 추천수6 |
반대(0)
![]() |
2025년 3월 23일 사순 제3주일 2023년 1월 16일 자로 발령받은 저는 갑곶성지를 떠나 지금의 성김대건성당으로 둥지를 틀게 되었습니다. 처음 며칠 동안은 당황스러움의 연속이었습니다. 외출을 나갔다가 성당에 들어오는 것이 힘든 것입니다. 성당으로 들어오는 도로를 못 찾아서 헤맬 때가 많았고, 걸어서 물건을 사러 근처 가게에 갔다가 성당 방향이 아닌 정반대로 간 적도 있었습니다. 건물이나 길이 다 비슷비슷하기 때문입니다. 길눈이 어둡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없었는데, ‘길치인가 보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은 어떨까요? 길을 잃어버리지도 않고, 길이 헷갈리지도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많이 다녔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현재 위치를 잘 몰라도 주위의 풍경, 개략적인 지형도를 알고 있기에 손쉽게 성당을 찾아가게 됩니다. 주님께 가는 길을 잃어버렸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아직 그 길이 낯설기 때문입니다. 길을 알기 위해서는 주변을 볼 수 있어야 하는 것처럼, 주위를 보고 많이 알아가야 주님께 가는 길을 알 수 있습니다. 성경을 읽고, 기도와 묵상을 게을리하지 않고, 무엇보다 사랑하며 살아가야 주님께 가는 길을 훤하게 보이게 될 것입니다. 그런데 알지 못한다고 쉽게 포기하는 것이 아닐까요? 불평불만만을 반복하면서, 주님께 가는 길을 전혀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요? 주님께 가는 길은 낯설어서는 안 됩니다. 계속 그 길을 가려는 우리의 사랑 담긴 노력으로 훤하게 알 수 있게 되면서, 그 안에서 큰 기쁨과 행복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주님께서 사시던 시대에는 인간의 죽음을 삶의 결과로 보고 있었습니다(지금도 비슷합니다) 만약 불행하게 죽으면 그들이 지은 죄 때문이고, 편안하게 죽으면 선행을 많이 쌓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빌라도가 갈릴래아 사람들을 성전에서 학살 것을, 또 실로암의 탑이 무너지면서 깔려 죽은 사람들을 죄의 결과로 본 것입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모두 그렇게 멸망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시면서, 죄의 결과로 죽은 것이 아님을 분명하게 하신 것입니다. 죽음의 원인과 책임을 말씀하시지 않습니다. 그보다 지금 이 순간 회개가 필요함을 강조하셨던 것입니다. 주님께 나아가는 길은 죽음을 통해서 평가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보다 지금 회개하면서 사랑의 삶을 사는 사람만이 그 길에 들어서게 되고 주님 안에서 기쁨의 삶을 살 수 있게 됩니다. 무화과나무의 비유를 통해, 하느님의 기다림이 영원하지 않다고 하십니다. 맞습니다. 주님께 나아가는 길은 미뤄서는 안 되고, 지금 당장 들어서야 합니다. 언제 죽음이 닥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바로 지금 회개해서 영원한 삶을 준비해야 합니다. ♡오늘의 명언♡ 너희의 사상과 느낌 뒤에는 더욱 강력한 명령자, 알려지지 않은 현자가 있다. 그것은 바로 ‘자아’다. (프리드리히 니체) 사진설명: 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모두 멸망할 것이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