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매일미사/2025년 8월 14일 목요일[(홍)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사제 순교자 기념일] | |||
|---|---|---|---|---|
| 이전글 | 신앙 - 용서, 구원은 죄로부터 출발 | |||
| 다음글 |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2025.08.14) | |||
작성자김중애
|
작성일2025-08-14 | 조회수180 | 추천수0 |
반대(0)
신고
|
|
2025년 8월 14일 목요일 [(홍)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사제 순교자 기념일] 오늘 전례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성인은 1894년 폴란드 즈둔스카볼라에서 태어났다. 열네 살에 꼰벤뚜알 프란치스코 수도회에 입회하여, 1917년 성모 신심 단체인 ‘성모 기사회’를 설립하였다. 이듬해 로마에서 사제품을 받은 콜베 신부는 평생을 선교사로 살아가다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였을 때 체포되어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갇혔다. 그곳에서 수감자 한 명이 탈출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수용소에서는 한 명이 탈출하면 열 명을 지목하여 처형하는 규칙이 있었다. 이에 따라 지목된 열 명 가운데 한 사람이 자기에게는 가족이 있다며 울부짖자 콜베 신부가 그를 대신하겠다며 나섰다. 결국 콜베 신부는 다른 아홉 명과 함께 굶겨 죽이는 아사형을 받고 1941년 지하 감방에 갇혀 세상을 떠났다. 1982년 요한 바오로 2세 교황께서 그를 ‘자비의 순교자’라 부르시며 시성하셨다. 제1독서 <주님의 계약 궤가 너희 앞에 서서 요르단을 건널 것이다.> 3,7-10ㄱㄴㄹ.11.13-17 앞에서 너를 높여 주기 시작하겠다. 준 것처럼 너와도 함께 있어 준다는 것을 그들이 알게 될 것이다. ‘요르단 강 물가에 다다르거든 하고 명령하여라.” 자손들에게 말하였다. 하느님의 말씀을 들어라.” “이제 일어날 이 일로써, 너희 가운데에 계시면서, 쫓아내시리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너희 앞에 서서 요르단을 건널 것이다. 사제들의 발바닥이 요르단 강 물에 닿으면, 끊어져 둑처럼 멈추어 설 것이다.” 자기들의 천막에서 떠날 때에, 다다랐다. 수확기 내내 강 언덕까지 물이 차 있었는데, 궤를 멘 사제들이 요르단 강 물가에 발을 담그자, 아담에 둑이 생겨, 아라바 바다, 곧 ‘소금 바다’로 내려가던 물이 완전히 끊어진 것이다. 그래서 백성은 예리코 맞은쪽으로 건너갔다. 움직이지 않고 서 있는 동안, 마침내 온 겨레가 다 건너간 것이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화답송 시편 114(113 상),1-2.3-4.5-6 야곱 집안이 낯선 말 하는 민족을 떠날 때, 유다는 그분의 성소가 되고, 이스라엘은 그분의 나라가 되었네. ◎ 알렐루야. 요르단이 뒤로 돌아섰네. 산들은 숫양처럼 뛰어다니고, 언덕들은 어린양처럼 뛰놀았네. ◎ 알렐루야. 산들아, 어찌 숫양처럼 뛰어다니고, 언덕들아, 어찌 어린양처럼 뛰노느냐? ◎ 알렐루야. 복음 환호송 시편 119(118),135 당신 법령을 저에게 가르쳐 주소서. 복음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 18,21─19,1 몇 번이나 용서해 주어야 합니까? 번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 셈을 하려는 어떤 임금에게 비길 수 있다. 만 탈렌트를 빚진 사람 하나가 끌려왔다. 갚으라고 명령하였다. 제가 다 갚겠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그를 놓아주고 부채도 탕감해 주었다. 백 데나리온을 빚진 동료 하나를 만났다. ‘빚진 것을 갚아라.’ 하고 말하였다. 내가 갚겠네.’ 하고 청하였다. 다 갚을 때까지 감옥에 가두었다. 너무 안타까운 나머지, 주인에게 가서 그 일을 죄다 일렀다. 불러들여 말하였다. 너에게 빚을 다 탕감해 주었다. 베풀었어야 하지 않느냐?’ 그를 고문 형리에게 넘겨 빚진 것을 다 갚게 하였다. 마음으로부터 용서하지 않으면, 그와 같이 하실 것이다.” 마치시고 갈릴래아를 떠나,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영성체송 요한 15,13 참조 목숨을 내놓는 것보다 더 큰 사랑은 없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