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매일미사/2025년 8월 20일 수요일 [(백)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 학자 기념일] | |||
|---|---|---|---|---|
| 이전글 | 이전 글이 없습니다. | |||
| 다음글 | 나의 사랑......나의 예수님. | |||
작성자김중애
|
작성일2025-08-20 | 조회수184 | 추천수0 |
반대(0)
신고
|
|
2025년 8월 20일 수요일 [(백)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 학자 기념일] 오늘 전례 베르나르도 성인은 1090년 프랑스 디종 근교에서 태어났다. 어머니의 죽음으로 충격을 받은 그는 시토회에 입회하였다. 나중에 클레르보 수도원의 아빠스 (대수도원장)가 되어, 몸소 모범을 보이며 수도자들을 덕행의 길로 이끌었다. 또한 그는 교회의 분열을 막고자 유럽 각지를 두루 다니며 평화와 일치를 회복하고자 노력하였고, 신학과 영성 생활에 관한 많은 저서를 남겼다. 1153년 선종한 베르나르도 아빠스를 1174년 알렉산데르 3세 교황께서 시성하셨고, 1830년 비오 8세 교황께서 ‘교회 학자’로 선포하셨다. 제1독서 <주님께서 여러분의 임금이신데도 “임금이 우리를 다스려야 하겠습니다.” 하고 말하였소(1사무 12,12 참조).> 6 스켐의 모든 지주와 벳 밀로의 온 주민이 모여, 스켐에 있는 기념 기둥 곁 참나무 아래로 가서 아비멜렉을 임금으로 세웠다. 큰 소리로 이렇게 외쳤다. 말을 들어 주실 것이오. 세우려고 나무들이 길을 나섰다네. 올리브 나무에게 말하였네. ‘신들과 사람들을 영광스럽게 하는 나무들 위로 가서 흔들거리란 말인가?’ ‘그대가 와서 우리 임금이 되어 주오.’ 하였네. 와서 우리 임금이 되어 주오.’ 하였네. 이 포도주를 포기하고 다른 나무들 위로 가서 흔들거리란 말인가?’ ‘그대가 와서 우리 임금이 되어 주오.’ 하였네. 대답하였네. ‘너희가 진실로 나에게 기름을 부어 와서 내 그늘 아래에 몸을 피하여라. 불이 터져 나가 레바논의 향백나무들을 삼켜 버리리라.’” ◎ 하느님, 감사합니다. 화답송 시편 21(20),2-3.4-5.6-7(◎ 2ㄱ) 당신 구원으로 얼마나 즐거워하나이까! 당신은 그 마음의 소원 이루어 주시고, 그 입술의 소망 내치지 않으셨나이다. ◎ 주님, 임금이 당신 힘으로 기뻐하나이다. 그 머리에 순금 왕관을 씌우셨나이다. 그가 당신께 살려 달라 빌었더니, 영영 세세 긴긴날을 주셨나이다. ◎ 주님, 임금이 당신 힘으로 기뻐하나이다. 당신이 존귀와 영화를 내리시나이다. 그를 영원한 복이 되게 하시고, 당신 앞에서 기쁨이 넘치게 하시나이다. ◎ 주님, 임금이 당신 힘으로 기뻐하나이다. 복음 환호송 히브 4,12 참조 마음의 생각과 속셈을 가려낸다. 복음 <내가 후하다고 해서 시기하는 것이오?> 20,1-16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이런 비유를 들어 말씀하셨다. 일할 일꾼들을 사려고 이른 아침에 집을 나선 밭 임자와 같다. 한 데나리온으로 합의하고 그들을 자기 포도밭으로 보냈다. 3 그가 또 아홉 시쯤에 나가 보니 장터에 서 있었다. 포도밭으로 가시오. 정당한 삯을 주겠소.’ 하고 말하자, 5 그들이 갔다. 그는 다시 열두 시와 오후 세 시쯤에도 나가서 그와 같이 하였다. 나가 보니 또 다른 이들이 서 있었다. 왜 온종일 하는 일 없이 여기 서 있소?’ 하고 물으니,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가시오.’ 하고 말하였다. 자기 관리인에게 말하였다. 이들부터 시작하여 맨 먼저 온 이들에게까지 품삯을 내주시오.’ 이들이 와서 한 데나리온씩 받았다. 차례가 되자 자기들은 더 받으려니 생각하였는데, 그들도 한 데나리온씩만 받았다. 밭 임자에게 투덜거리면서, 한 시간만 일했는데도, 우리와 똑같이 대우하시는군요.’ 하고 말하였다. 한 사람에게 말하였다. 저지르는 것이 아니오. 합의하지 않았소? 당신에게처럼 품삯을 주고 싶소. 싶은 대로 할 수 없다는 말이오? 시기하는 것이오?’ 첫째가 꼴찌 될 것이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영성체송 요한 15,9 참조 아버지가 나를 사랑하신 것처럼 나도 너희를 사랑하였으니, 너희는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