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유쾌한 클래식: 하이든이 작곡한 독일 국가(國歌) | |||
---|---|---|---|---|
이전글 | 이전 글이 없습니다. | |||
다음글 | [연중 제31주일 복음특송] 이스라엘아 들어라(글,곡 이용현 신부)The Present D ... | |||
작성자주호식
![]() ![]() |
작성일2021-10-27 | 조회수2,000 | 추천수0 | |
[장일범의 유쾌한 클래식] (22) 하이든이 작곡한 독일 국가(國歌) 황제 찬가가 독일 국가가 된 사연
도쿄 하계 올림픽을 끝마치고 이제 베이징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있다. 며칠 전 그리스에서는 다시 한 번 성화가 봉송되기도 했다. 1988년 여름에 열린 서울 올림픽이 떠오른다. 난 잠실 주경기장에서 소련국가대표(러시아가 아니라 막강한 구소련 대표팀이었다) 육상팀을 위한 인포메이션 센터에서 통역을 하고 있었다.
짬이 날 때마다 최고의 멋진 육상 경기를 보게 되는 행운도 누렸는데 ‘나는 인간새’로 불린 장대높이뛰기 세계 신기록 보유자였던 세르게이 부부카도 만나고 남자 소련대표팀이 투포환 금ㆍ은ㆍ동메달을 휩쓰는 것 그리고 지구상에서 가장 유명한 대결로 초미의 관심사를 끌었던 남자 100m 달리기 캐나다의 벤 존슨과 미국의 칼 루이스의 경기도 눈앞에서 볼 수 있었다. 벤 존슨이 칼 루이스를 제치고 마법의 탄환처럼 탄력적으로 튀어 나가 눈 깜짝할 사이에 결승선을 통과하고 승리했으나 도핑 테스트에서 걸려 영구 제명되고 칼 루이스가 금메달을 차지한 그 문제의 경기도 봤다. 음악을 좋아하는 내가 육상 경기 외에 큰 관심을 갖게 된 건 당연히 수없이 울려 퍼지는 각국 금메달리스트들의 시상식 국가였다.
특히 투포환 금ㆍ은ㆍ동메달을 모두 휩쓴 소련 대표의 시상식은 지금 생각해 봐도 압도적이었다. 현재에도 가사만 약간 바꿔서 국가로 다시 사용되고 있는 소련 국가는 가슴이 뭉클할 정도로 멜로디와 화성 진행이 아름다웠다. 내가 러시아어를 전공하고 있었고 러시아에 대한 애정이 엄청났으며 그 당시에는 러시아 사람을 만나는 것조차 신기한 일이었기 때문에 더욱 그럴 수밖에 없었다. 몇몇 나라들의 국가를 듣던 중 난 시상식에서 흘러나오는 아름다운 국가에 발걸음을 멈추고 멍하니 스타디움 위의 푸른 하늘을 바라봤다. 당시 서독 선수가 어떤 경기에서 금메달을 땄고 하이든이 작곡한 국가가 울려 퍼진 것이었다. 서독 국가는 황홀하게 아름다웠고 이 국가는 현재에도 통일 독일의 국가다.
※ QR코드를 스캔하시면 하이든이 작곡한 독일 국가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BmCcSz6HWw
[가톨릭평화신문, 2021년 10월 24일, 장일범(발렌티노, 음악평론가, 서울사이버대 성악과 겸임교수, ‘장일범의 유쾌한 클래식’ 진행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