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교회음악 이야기: 구노의 성 세실리아 미사 | |||
---|---|---|---|---|
이전글 | 음악칼럼: 행복한 작곡가 멘델스존이 말없이 건네는 노래 - 무언가(無言歌) | |||
다음글 | 전례 ·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4: 반복 가운데의 변화 | |||
작성자주호식
![]() ![]() |
작성일2022-02-26 | 조회수1,958 | 추천수0 | |
교회음악 이야기 (6) 구노 <성 세실리아 미사>
샤를 구노(Charles-François Gounod, 1818-1893)는 화가 아버지와 피아니스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프랑스 작곡가이다. 미술, 음악 분야 모두에 탁월한 재능을 보였던 구노는 일반적으로 <아베 마리아>(Ave Maria)로 더 잘 알려진 작곡가이기도 하다. 또한 <아베 마리아>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를 차치하고도 우리는 10월 순교자 성월이면 《가톨릭 성가》에 수록된 구노의 노래를 부른다. 그 곡은 바로 원제목 ‘순교자 찬가’인 《가톨릭 성가》 284장 ‘무궁무진세에’이다. 19세기 프랑스에서 가장 많은 종교 음악을 작곡한 작곡가 중 한 명이라는 평가가 무색하지 않은 순간이다.
이처럼 교회음악에 공을 기울였던 구노는 사실 1847년 사제가 되기 위해 생 쉴피스(St. Sulpice)의 신학교에 입학하기도 했다. 모양새 좋게는 음악에 대한 순수한 열정 때문에, 조금 더 솔직하게 말하면 음악에 대한 매료뿐 아니라 평생 독신의 삶에 자신이 없었던 그는 성직자의 길을 포기한다. 그렇지만 평생 신실한 신앙인이었던 구노는 하루 15분씩 성경 읽기를 권하기도 하고, 그가 세상을 떠났을 때 남긴 문서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점점 더 개인적인 신학적 성찰에 몰두’하며 교회음악에 심혈을 기울였다.
구노의 수많은 교회음악 중 그가 살아있을 때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가장 큰 사랑을 받아온 작품이 <성 세실리아 미사>이다. 공식 명칭은 ‘수호성인인 성 세실리아에게 경의를 표하는 장엄미사’(Messe solennelle en l’honneur de Sainte-Cécile, CG 56)이고, 보통 구노의 <장엄미사> 또는 <성 세실리아 미사>로 불린다. 작품 중 일부 먼저 작곡된 상투스(Sanctus)와 베네딕투스(Benedictus)가 다른 작품과 함께 공연된 적이 있으나, 미사곡 전체로서는 1855년 11월 22일 성 세실리아 축일에 파리의 생 외스타슈(Saint-Eustache)에서 초연되었고 언론의 찬사를 받았다.
사실 <성 세실리아 미사>는 본당의 성가대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던 시절, 연주회의 단골 레퍼토리이기도 했다. 쉽지 않지만 충분히 도전해 볼 만했던 이 곡의 매력은 듣는 사람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불변의 아름다움을 추구했던 구노의 모토와 맞닿아 있다. 이 작품의 편성은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솔리스트와 혼성 4-6부 합창, 오케스트라, 오르간 반주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 성가대에서 성악파트는 본래 편성대로 구현할 수 있었으나, 6대의 하프, 큰북에 드럼, 심벌즈까지 포함된 타악기, 확장된 관악기 편성으로 이루어진 오케스트라를 꾸리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이 화려한 연주는 아래 표기된
[2022년 2월 27일 연중 제8주일 대전주보 4면, 오주현 헬레나(음악학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