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전례/미사

제목 [미사] 미사의 구조: 성찬 전례 - 감사기도의 구조와 내용
이전글 [미사] 미사의 구조: 성찬 전례 - 감사기도  
다음글 [미사] 미사의 구조: 성찬 전례 - 영성체 예식  
작성자주호식 쪽지 캡슐 작성일2004-11-09 조회수4,214 추천수0

미사의 구조 : 성찬 전례 (3) 감사기도의 구조와 내용 (1)

 

 

감사기도의 기본 구조는 유다인의 축복기도(베라카)와 거의 같으나(감사, 구원 역사 나열, 간청기도, 영광송) 나름대로 만들었다. 감사기도의 본질적인 요소는 감사(대화와 감사송), 환호(거룩하시도다), 연결기도, 축성기원 성령 청원기도(Epiclesis), 성찬제정과 축성문, 기념 환호(신앙의 신비여), 기념과 봉헌, 일치기원 성령 청원기도, 전구, 마침 영광송으로 이루어진다.

 

감사기도는 예수님의 최후만찬을 그대로 따르는 기도이기에 예수님의 인격을 따라 바치는 대사제의 기도이다. 그러므로 감사기도는 본성상 오직 사제 홀로 바치도록 되어 있고, 신자들은 믿음 안에서 침묵을 지키며 감사기도에 규정되어 있는 개입을 통하여 사제와 일치하여 기도를 바친다. 신자들의 개입 부분은 감사송 대화에서 응답, 거룩하시도다, 축성 다음의 환호, 마침 영광송 다음의 아멘 환호이다.

 

 

대화

 

감사송 전에 삽입되어 있는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로 시작하는 사제와 신자들의 대화는 그 모임 가운데 그리스도가 현존하고 있다는 의식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주면서 곧 시작될 감사기도를 합당하게 하도록 준비시켜 준다. 즉 감사기도의 중요성, 내용(우리 주 하느님께 감사드리는 기도라는 것), 임하는 자세(지금은 가장 중요하게 착심해야 할 부분이기에 마음을 드높이자! 즉 진실로 감사, 찬미의 마음으로 임해야 한다는 것)를 알리며 성대히 권고 한다.

 

 

감사송

 

감사기도의 첫 부분으로 찬미와 감사의 의미가 담겨 있으며 전례력에 따라 구세사의 특징을 진술한다. 그러므로 시기에 따라 감사송은 변한다. 그러나 감사송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서론 부분에서는 구원의 절대적 조건을 드러내고, 본론에서는 감사의 이유와 동기(하느님의 구원 역사, 하느님 존재의 내용)를 설명하며, 결론에서는 거의 변함이 없이 감사와 찬미의 마음을 일으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호(거룩하시도다)

 

이사 6, 3과 마르 11, 9~11에서 따온 것으로 지상적인 것만이 아니라 우주적인 감사의 노래이다. 특히 감사기도에 모든 신자들이 참여하도록 잘 표현되어 있다. 이 노래는 메시아이신 예수님께 대한 환호로서 예수님께서 수난과 부활을 통해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입성하신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도 곧 성찬 예식에 들어감을 의미한다. 3번 반복해서 부르는 것은 최상급을 의미하므로 더 없이 거룩함을 나타낸다. 이 부분은 노래를 통한 행동적 참여이기에 노래로 부를 때 더욱 의미가 드러난다.

 

 

연결기도

 

'거룩하시도다'를 부른 후 미사 핵심 부분인 성체 축성 부분에 곧바로 들어가기가 어색해서 "거룩하신 아버지, 아버지께서는 모든 거룩함의 샘이시옵니다"라는 기도를 덧붙인 것이다. 이 기도의 첫 문장은 하느님 아버지께 향하고 있다. 왜냐하면 미사는 그리스도를 향하여 드리는 기도가 아니고, 성부를 향하여 드리는 기도이므로 처음 부르는 말은 감사기도 양식에 따라 형식은 다르지만 모두 성부를 지칭하고 그 다음에 그리스도에 의한 구원과 성령을 기념한다.

 

 

축성기원 성령 청원기도

 

제대에 놓인 빵과 포도주를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되게 해달라고 성령께 청하는 기도문이다. 여기서 한 가지 생각할 점은 성사나 교회의 존속 등 모든 은혜는 하느님 자신의 은혜인 성령에 의한 것이기에 미사 전례에서도 가장 중요한 성 변화 때 성령의 작용을 빈다는 점이다. 전례학의 전문 용어로 성령의 도움을 청하는 이 기도를 '에피클레시스'(Epiclesis)라고 한다.

 

사제는 이 기도시 안수와 십자 표시를 하는데, 안수는 하느님의 능력을 내려주는 표시(성령을 내려주는 표시)이며, 십자 표시는 축성의 전형적 표시이다. 서방 교회는 성령을 불러 청해 놓고 성찬 제정 말을 통해 성체를 축성한다고 하고, 동방교회는 바로 이 '축성기원 성령 청원기도'(Epiclesis) 자체만으로 축성된다고 하여 '성찬 제정과 축성문' 다음에 놓고 있다. [가톨릭신문, 2004년 6월 20일, 정의철 신부(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장)]

 

 

미사의 구조 : 성찬 전례 (3) 감사기도의 구조와 내용 (2)

 

 

성찬 제정과 축성문

 

'성찬 제정과 축성문'은 예수님께서 최후만찬시 빵과 포도주를 들고 하신 말씀 그대로로서, 여기서 예수님의 말씀과 행위를 통해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되는 거룩한 변화가 이루어진다. 감사기도의 본질적인 부분이기에 사제는 이 말씀을 할 때 예수님의 인격이 되어 예수님의 동작과 말을 최대의 경건심을 갖고 또박또박 정성스러이 해야 한다.

 

 

성체 거양

 

성찬 축성문이 끝난 후 바로 성체를 거양하는 관습은 1200년경에 생겨났다. 그 동기는 축성된 성체를 바라보는데서 특별한 축복을 기대했던 중세기 신앙인들의 강렬한 현시 욕구에 있었다. 처음에는 성체만 거양하다가 그 후 훨씬 뒤에 성혈도 거양하게 되었다.

 

20세기에 교황 비오 10세는 성체를 들어 올릴 때 보고, 사제가 꿇을 때 깊은 절을 하며, 토마 사도의 기도인 "내 주님, 내 하느님!"을 고백하도록 하였고, 일부 지역에서는 이때 "주님, 저희에게 성인 신부를 많이 주소서"라고 기도하기도 하였다.

 

 

기념 환호(신앙의 신비여)

 

'신앙의 신비'라고 불리는 이 환호는 그리스도가 일생 동안 행한 구원사업이 그 수난과 죽음을 통하여 부활의 영광에 이르게 됨으로써 이루어진 사실과 부활하신 주님이 끊임없이 우리 가운데 임하고 계시다는 사실을 잘 나타낸다. 즉, 하느님 나라가 끊임없이 내림하고 있다는 긴박감과 함께 우리가 그 신앙 안에서 살고 또 주님의 죽으심을 전하고 부활하심을 찬양하며 살아가겠다는 종말론적인 신앙의 증거를 이 한마디의 말로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기념과 봉헌(Anamnesis)

 

그리스도께서 수난과 죽음을 통하여 부활의 영광으로 넘어간 구원사업의 중심인 주님의 파스카를 미사의 중심 부분인 감사기도에서 다시 생각하고 기념한다. 그러나 여기서의 기념은 단순히 회상하거나 추억을 되풀이 하는 것이 아니다.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을 통해 부활의 영광으로 건너간 주님의 파스카 기념 의식을 함께 지냄으로써 그리스도의 봉헌이 전례의 신비를 통해 현존하게 되고, 우리도 이 교회의 봉헌에 함께 참여함으로써 주님께서 파스카를 통해 시작한 하느님 나라를 위해 우리 자신을 봉헌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전구(轉求)

 

공동체를 위한 기도와 전구의 요소 또한 기념하는데서 비롯된다. 그리스도 생애의 구원사업을 기념하는 것은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한 구세사 전체의 기념으로서, 그 안에 전 인류를 위한 기도, 우리와 관련된 모든 사람을 기억하는 기도가 포함되게 마련이다. 이 공동체를 위한 기도는 감사기도에 따라 각기 그 강조점, 뉘앙스, 세목이 다르게 나타난다. 하지만 그 사고방식에 있어서는 공통적이다. 우리를 인도하는 목자인 교황, 주교, 사제를 위해 기도하고, 모든 교회 즉, 산 이와 죽은 이를 위해 기도한다.

 

 

마침 영광송(doxologia)

 

모든 감사기도는 삼위일체 찬송인 장엄 영광송으로 끝맺는다. 이는 독솔로지아(doxologia)라는 말이 뜻하는 것처럼 삼위일체이신 하느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다. 마침 영광송은 감사기도 전체의 끝맺음인데,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성령의 나눔 안에서 하느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는 기도이다.

 

 

아멘

 

좁은 의미로 '마침 영광송'을 받지만 넓은 의미로는 감사기도 전체를 받는 환호로서 미사 중 가장 중요한 환호이다. '아멘'은 믿음의 표현이고, 성체성사에 대한 신비를 인정하는 것이어서 사제, 신자 모두가 공동의 기도를 바쳤음을 알리는 신앙의 일차적 표시이다. 성 예로니모가 이 '아멘'의 외침이 로마의 바실리카 성전에 천둥소리처럼 울려 퍼졌노라고 전하고 있는 것처럼, 오늘날 우리도 미사 때의 이 외침이 정말로 자신의 신앙고백임을 인식하여 힘있게 증언하여야 할 것이다. [가톨릭신문, 2004년 6월 27일, 정의철 신부(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장)]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