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전례] 펀펀 전례: 제대에 촛불은 꼭 있어야 하나요? | |||
---|---|---|---|---|
이전글 | [미사] 예수님을 몸속에 모시는 영성체 | |||
다음글 | [전례] 기본적인 의무인 주일미사를 지키지 못한 경우 | |||
작성자주호식 | 작성일2016-06-21 | 조회수7,431 | 추천수0 | |
[펀펀(funfun) 전례] (24) 제대에 촛불은 꼭 있어야 하나요? ‘빛’이신 그리스도 드러내고 신앙 사명 되새겨
민이 : 신부님, 미사 봉헌할 때 제대 위에 항상 촛불을 켜 두잖아요. 촛불이 꼭 있어야 하나요? 이미 성당은 전등으로 밝은 상태인데, 촛불이 왜 필요한지 모르겠어요.
티모 : 꼭 있어야 하지요. 미사 때 촛불을 켜 두는 것은 단순히 주위를 밝히는 용도가 아니거든요. ‘세상의 빛’(요한 8,12)으로 오신 그리스도를 드러내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세례 때 다들 불을 밝힌 초를 받았던 것 기억하시나요? “너희는 세상의 빛이다”(마태 5,14)라고 하신 주님 말씀대로 그리스도인이 세상에서 빛으로 살아가야 할 사명이 있음을 기억하라는 뜻도 있지요.
세라 : 세상의 빛이신 그리스도를 드러내고, 세상의 빛으로 살아갈 그리스도인의 사명을 기억하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군요. 교회에서 ‘빛’의 의미가 이렇게 중요한지 몰랐어요.
티모 : 예수님은 떠오르는 태양처럼 부활하셨고, 그분을 믿는 사람 모두를 비추시는 빛이라는 상징적 의미로 볼 수 있어요. 이런 까닭에 ‘이른 아침 미사를 드리는 동안 떠오른 태양이 모두를 비출 수 있도록 한다’는 의도에서 동쪽 방향으로 성당을 짓기도 했죠.
민이 : 그럼 교회가 촛불을 사용한 것은 언제부터였나요?
티모 : 초세기 때 예배에서 초나 등불을 사용했다고 하는데, 이는 악마를 쫓아내기 위해 불빛을 사용했던 이교도 관습에서 유래됐다고 하고요. 주위를 밝히기 위한 용도로도 썼대요. 그러다 4세기 때부터 초에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의미가 강조되기 시작했죠.
세라 : 그럼 미사 때 초를 의무적으로 사용한 것도 그때부터인가요?
티모 : 17세기에 와서야 의무화됐어요. 보통 평일과 기념일에는 2개, 의무축일과 주일에는 4개의 초를 밝히죠. 대축일에는 6개 초를, 공식적인 교구장 주교 집전 미사에서는 7개의 초를 사용해요.(「로마미사경본 총지침」 117항 참조)
민이 : 초는 꼭 제대 위에만 있어야 하나요?
티모 :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제대 위 혹은 곁에 두면 됩니다.(「로마미사경본 총지침」 117항 참조) 외국에서는 제대 주변에 초를 켜 놓기도 하죠. 그러면 제대가 그렇게 클 필요가 없어 공간 활용에도 도움이 되거든요.
세라 : 그동안 미사 때 제대 위 촛불을 아무 생각 없이 봤는데, ‘빛’의 의미를 깨닫게 된 기회가 됐어요.
티모 : 전례에서 ‘빛’은 물질적인 것과 영적인 것을 잘 구별해 볼 수 있도록 해주시는 하느님의 은총, 그리고 우리 신앙을 상징하지요. 미사 때마다 촛불을 바라보며 참된 ‘세상의 빛’으로 오신 그리스도를 따라 세상에 주님의 사랑과 평화를 밝히는 삶을 살겠다고 다짐하면 좋겠습니다.
[가톨릭신문, 2016년 6월 19일, 지도 윤종식 신부(가톨릭대 전례학 교수), 정리 우세민 · 이나영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