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전례] 성모동산의 꽃과 풀들: 이름에 십자가를 품은 식물들 | |||
---|---|---|---|---|
이전글 | [전례] 보십시오!(ECCE!) | |||
다음글 | [전례] 전례 영성: 성무일도, 시간에 맞춰 거행하는 파스카 신비 | |||
작성자주호식
![]() ![]() |
작성일2019-09-10 | 조회수7,496 | 추천수0 | |
[성모동산의 꽃과 풀들] 이름에 ‘십자가’를 품은 식물들
![]() 4세기 초 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탄압의 대상이던 그리스도교를 공인했다. 그리고 이 황제의 어머니인 성녀 헬레나는 만년에 황후의 지위에 연연하지 않고 궁궐을 나와 예루살렘 성지를 순례했고, 한동안 성지에서 기도하며 지냈다. 교회에 전해 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때 성녀 헬레나가 예수님께서 못 박히셨던 십자가를 발견했다고 한다. 이를 기려서 가톨릭교회는 9월14일에 성 십자가 현양 축일을 지낸다. 그리고 십자가의 의미와 중요성을 잘 알고 소중히 여기는 그리스도인들은 몇몇 식물들에 특별히 십자가와 관련된 이름을 붙여 주었다.
크로스바인, ‘십자가덩굴’
미국 남동부 일대에는 큰 나무든 작은 덤불이든 또는 담장이든 줄기를 붙일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 달라붙어서 감아 오르며 15미터 이상 자라는 덩굴식물이 널리 분포한다. 크로스바인(Cross Vine)이라는 덩굴식물이다. 이 식물은 생장하는 동안에는 잎이 밝은 녹색을 띠다가 겨울에는 붉은 빛이 도는 자주색을 띠는데, 그렇다고 낙엽이 지지는 않아서 상록성 식물로 분류된다.
그리고 봄 중반부터 여름의 끝 무렵까지 잎겨드랑이에서 2~5송이씩 나팔 모양의 통꽃을 피운다. 안쪽은 대체로 노란색이고 바깥쪽은 주황에서 적갈색에 이르기까지 색깔이 다양한 꽃에서는 향기로운 냄새를 풍기는데, 카레 냄새가 난다고 말하는 사람도 한다.
이 식물은 능소화과로 분류된다. 능소화과 식물임이 확실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 이 식물의 꽃이 요즘 우리나라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능소화를 빼어 닮았다. 최근에는 능소화 꽃이 우리 주변에서 쉽게 눈에 띄지만, 본래 능소화는 양반집 마당에만 심을 수 있는 식물이었다. 그래서 이름마저도 ‘양반꽃’이라 불리던 때가 있었다. 능소화가 이렇듯 소위 ‘지체 높은’ 식물이었다면, 그에 못지않게 크로스바인은 이름만으로도 교회에서 지체 높은 식물에 속한다고 하겠다. 크로스바인을 우리말로 새기자면 ‘십자가덩굴’이라고 할 수 있으니 말이다.
이 식물의 특징들 중 한 가지는 줄기를 자르면 그 횡단면에 십자가 모양이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 점 때문에 이 식물은 크로스바인이라는 과분한(?) 이름을 얻게 되었다. 이런 이름을 붙이는 것이 그리스도인들이 많은 지역에서는 당연한 일이었을 테지만, 이러한 그리스도교적 표현이 마뜩하지 않아서였는지 달리는 학명[Bignonia capreolata]에 근거해서 비그노니아라는 이름으로도 흔히 불린다.
그런데 얄궂게도 비그노니아라는 이름 또한 한 사제의 이름에서 유래한다는 점에서 교회와 무관하지는 않다. 조제프 피통(Joseph Pitton de Tournefort)이라는 프랑스의 식물학자가 이 식물의 이름을 지을 때 자기 친구인 장-폴 비뇽(Jean-Paul Bignon) 신부를 기리는 마음으로 비그노니아라고 정했다고 한다.
플록스, ‘그리스도의 십자가 꽃’
플록스 꽃의 아랫부분은 통 모양으로 길쭉하고, 윗부분은 꽃잎이 5갈래로 갈라지며 수평으로 퍼진다. 그러나 꽃잎들이 각기 떨어져 있지는 않으며 마치 지붕의 기와들이 겹쳐지며 맞물리는 것처럼 조금씩 겹쳐져 있다. 그리고 꽃이 한꺼번에 활짝 피었다가 한꺼번에 지고 마는 여느 꽃들과는 다르게 번갈아가며 피고 지는 가운데 개화 기간이 제법 길다.
플록스는 그리스어로 ‘불꽃, 빛’을 뜻한다. 아마도 이 식물의 꽃이며 잎의 생김새가 그리고 꽃의 색깔이 불[火]이 지닌 몇몇 요소들을 생생하게 연상시켰기 때문에 그런 이름으로 불리게 된 듯하다. 한편, 그리스도인들은 이 식물을 일컬어 ‘그리스도의 십자가 꽃(Christ’s-Cross Flower)’이라고 불렀다.
스위트알리섬, ‘성모님의 작은 십자가’ 또는 ‘십자가의 꽃’
스위트알리섬은 원산지 지중해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지만 한국에서는 가을에 파종하는 한해살이풀로 취급된다. 스위트알리섬의 학명은 로불라리아 마르티마(Lobularia Maritima)인데, 여기서 로불라리아는 그리스어로 ‘작은 꼬투리’라는 뜻이다. 아마도 씨앗을 담는 깍지를 보고서 지은 이름인 듯하다.
일찍이 사람들은 스위트알리섬을 ‘빼어난 미모, 뛰어난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꽃이라 여겼다. 그리고 그리스도인들은 이 식물을 ‘당신이 손수 축복하신 성모님의 작은 십자가(Blessed by Mary, Mary’s Little Cross)’ 또는 ’십자가의 꽃(Flower of the Cross)‘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월간 레지오 마리애, 2019년 9월호, 이석규 베드로(자유기고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