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7 주님 수난 성금요일...독서(주해) | |||
---|---|---|---|---|
이전글 | ■ 7. 초대 교회 공동체 생활 / 예루살렘 교회[1] / 사도행전[7] |1| | |||
다음글 | 22 01 19 수 평화방송 미사 죄의 상처가 있는 왼쪽 대장과 파생 상처가 있는 오른쪽 ... | |||
작성자김대군 | 작성일2023-04-06 | 조회수451 | 추천수1 | 반대(0) 신고 |
예수님의 수난을 묵상하는 주님 수난 성금요일에는 오랜 전통에 따라 성찬 전례를 거행하지 않고, 말씀 전례와 십자가 경배, 영성체로 이어지는 주님 수난 예식을 거행한다. 본디 이날의 전례는 말씀 전례가 중심을 이루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십자가 경배와 영성체 예식이 들어와 오늘날과 같은 전례를 거행하고 있다. 오늘은 금육과 단식을 함께 지킨다.
제1독서 <그가 으스러진 것은 우리의 죄악 때문이다(‘주님의 종’의 넷째 노래)> 53, 1 우리가 들은 것을 누가 믿었던가? 주님의 권능이 누구에게 드러났던가? 4 그렇지만 그는 우리의 병고를 메고 갔으며 우리의 고통을 짊어졌다. 7 학대받고 천대받았지만 그는 자기 입을 열지 않았다. 10 그러나 그를 으스러뜨리고자 하신 것은 주님의 뜻이었고 12 그러므로 나는 그가 귀인들과 함께 제 몫을 차지하고 -. 그가 으스러진 것은 우리의 죄악 때문이다(‘주님의 종’의 넷째 노래) 제2독서 <예수님께서는 순종을 배우셨고 당신께 순종하는 모든 이에게 구원의 근원이 되셨습니다.> 5, 7 예수님께서는 이 세상에 계실 때, 주해 14절 예수께서는 참된 지성소인 하늘에 들어가신 위대한 애제관이며 하느님의 아들이시다. 이스라엘의 왕들이나 로마 활제들도 하느님의 아들이라 불리긴했지만, 그분은 부활하신 뒤에 명백히 드러난 바와 같이 참된 하느님의 아들이시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은 스스로 고백하는 그리스도를 굳게 신뢰하여야 한다. 15절 예수께서 위대한 대제관이며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면만보면 사람이 가까이 가기 어려운 지존한 분으로만 생각하기 쉽다. 이 구절은 이러한 오해를 풀기 위해 그분은 그토록 지존한 분이면서도, 그 누구보다 우리 사람과 가까운 분임을 그분의 지상 생활을 통해 증명한다. 여기서 “동정하다”는 단순히 심리적으로 “측은히 여기다”라는 말이 아니라, 희로애락을 같이하고 유혹, 시련, 고통 등 사람의 나약함을 함께 겪는다는 말이다. 그런 면에서 예수님은 필로가 알려주는 구약의 대제관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예수께서 아무 죄도 짓지 않으셨다는 것은 신약성서에 기본 사상이다. 예수께서 유혹을 받으셨다는 말은 광야의 유혹이나 겟쎄마니의 유혹 등을 연상시킨다. 그러나 이곳에서는 더 나아가 그분이 지상생활을 하시는 동안에 우리와 같은 연약한 사람으로서 겪으셨던 모든 어려움, 고통, 유혹 등을 통틀어서 말한다. 그분은 죄를 제외하고는 한 인간으로서의 삶을 다 체험하셨기 때문에 사람들의 사정을 잘 이해하고 동정하며 같이 아파하신다. 16절 구약에서는 대제관만이 하느님의 현존 장소인 지성소에 들어갈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사람들을 동정하시는 그리스도께서 하느님의 옥좌에 계시므로, 평범한 우리도 모두 하느님께 가까이 갈 수 있다. 하느님의 옥좌는 더 이상 두려운 지존의 옥좌가 아니라 은총과 자비의 자리다. 5장 7절 직역하면 “육의 날”. 그리스도는 연약한 사람으로서 지상 생활을 하셨다. “경외심”은 존경심에서 우러나는 두려움이다. 8절 고난을 통해 복종을 배운다는 가르침은 칠십인역의 지혜문학 성서에 가끔 발견되는 사상이다. 필로의 저서에서는 “고난을 격다”와 “배우다”까 자주 함께 쓰일 뿐 아니라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다. 초대교회는 그리스도의 수난을 그분의 절대적 순종의 결과이자 천상 영광의 바탕으로 믿고 고백했다. 9절 “완전하게 되다”는 “축성되다”의 뜻도 포함한다. 여기서는 두 의미를 다 내포한다. 그리스도께서는 성부께 순종하여 자신을 바침으로써 주님이자 영원한 대제관이 되셨다. 그리스도께서는 순종과 헌신을 통해 완전하게 되고 인간 구원의 원천이 되셨다. 사람들은 이 그리스도로부터 구원을 얻을 뿐 아니라 구원에 이른 방법도 배운다. 200주년 신약성서 주해/ 분도출판사에서 옮김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