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연중 제12주일] 오늘의 묵상 (최정훈 바오로 신부)
이전글 연중 제12 주일 |4|  
다음글 ■ 너는 커서 무엇이 되고 싶니? / 따뜻한 하루[407]  
작성자김종업로마노 쪽지 캡슐 작성일2024-06-22 조회수38 추천수4 반대(0) 신고

 

 

2024년 06월 23일 일요일

[연중 제12주일오늘의 묵상 (최정훈 바오로 신부)

 

프란치스코 교황께서는 하느님의 뜻을 찾는 데에는 언제나 불확실함이 있으며만일 너무나 확실하게 말하는 사람들은 하느님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위해서 하느님을 이용하는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매사에 하느님을 찾고 발견하려는 일에는 여전히 불확실성의 영역이 남아 있습니다그분은 거기에 계셔야 합니다.

누군가가 하느님을 확실히 만났다고 말하면서도 불확실성의 그림자가 드리우지 않는다면뭔가 잘못된 것입니다.

어떤 사람이 모든 질문에 답을 가지고 있다면그건 하느님께서 그와 함께 계시지 않는다는 표지입니다”(나의 문은 항상 열려 있습니다-안토니오 스파다로와의 대담).

인간은 하느님의 신비를 완전히 알 수 없기에너무 쉽게 단정해서는 안 됩니다.

그분의 뜻을 알고자 노력할 뿐이고그 노력으로 숨겨진 의미를 아주 조금씩 깨달을 수 있을 뿐입니다.

세상의 모순과 고통예기하지 못한 사고소중한 이와 헤어짐 등 어떻게 이 모든 것을 분명하게 설명할 수 있겠습니까?

그럴듯한 이유를 붙일 수야 있겠지만사실 그것이 하느님의 뜻인지 자신의 생각인지 확신할 수 없습니다.

유한한 인간은 믿음을 가지고 겸손하게 그분의 뜻을 찾는 여정을 걸어갈 뿐입니다.

1독서의 욥은 하느님의 뜻을 찾아 모험에 나섰습니다.

그의 눈으로는 무고한 의인의 고통아무 이유를 찾을 수 없는 불행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그는 그저 하느님을 만나 자신의 고통을 토로하고이 고통의 이유와 의미를 묻고자 합니다.

이에 대하여 결국 하느님께서 응답하십니다.

하느님의 답변은 인간의 기준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그분의 크심입니다.

세상을 창조하시고 다스리시는 그분의 크심은 우리가 온전히 이해할 수 없는 신비입니다.

고통에 대한 하느님의 뜻을 인간 사고의 틀 안에 가두기보다인간의 이해를 넘어서는 그분의 크심을 인정하고불확실성 안에서 확실한 믿음을 가지고 담대하게 나아가는 것이 우리 신앙인의 올바른 태도일 것입니다.

그럴 때 알 수 없는 고통의 신비를 아주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최정훈 바오로 신부)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