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이영근 신부님_2024년 6월 24일 월요일 ·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
이전글 이수철 신부님_어떻게 살아야 하나? |1|  
다음글 양승국 신부님_ 예언자로서의 삶, 어쩔 수 없이 고독합니다!  
작성자최원석 쪽지 캡슐 작성일2024-06-24 조회수43 추천수4 반대(0) 신고

제1독서

▥ 이사야서의 말씀 49,1-6 

 

1 섬들아, 내 말을 들어라.
먼 곳에 사는 민족들아, 귀를 기울여라.
주님께서 나를 모태에서부터 부르시고 어머니 배 속에서부터 내 이름을 지어 주셨다.
2 그분께서 내 입을 날카로운 칼처럼 만드시고 당신의 손 그늘에 나를 숨겨 주셨다.
나를 날카로운 화살처럼 만드시어 당신의 화살 통 속에 감추셨다.
3 그분께서 나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나의 종이다.
이스라엘아, 너에게서 내 영광이 드러나리라.”
4 그러나 나는 말하였다. 

“나는 쓸데없이 고생만 하였다.
허무하고 허망한 것에 내 힘을 다 써 버렸다.
그러나 내 권리는 나의 주님께 있고 내 보상은 나의 하느님께 있다.”
5 이제 주님께서 말씀하신다.
그분께서는 야곱을 당신께 돌아오게 하시고 이스라엘이 당신께 모여들게 하시려고 나를 모태에서부터 당신 종으로 빚어 만드셨다.
나는 주님의 눈에 소중하게 여겨졌고 나의 하느님께서 나의 힘이 되어 주셨다.
6 그분께서 말씀하신다.
“네가 나의 종이 되어 야곱의 지파들을 다시 일으키고 이스라엘의 생존자들을 돌아오게 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나의 구원이 땅끝까지 다다르도록 나는 너를 민족들의 빛으로 세운다.” 

 


제2독서
▥ 사도행전의 말씀 13,22-26 

 

그 무렵 바오로가 말하였다.
“하느님께서는 조상들에게 

22 다윗을 임금으로 세우셨습니다.
그에 대해서는 ‘내가 이사이의 아들 다윗을 찾아냈으니, 그는 내 마음에 드는 사람으로 나의 뜻을 모두 실천할 것이다.’ 하고 증언해 주셨습니다.
23 이 다윗의 후손 가운데에서, 하느님께서는 약속하신 대로 예수님을 구원자로 이스라엘에 보내셨습니다.
24 이분께서 오시기 전에 요한이 이스라엘 온 백성에게 회개의 세례를 미리 선포하였습니다.
25 요한은 사명을 다 마칠 무렵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너희는 내가 누구라고 생각하느냐?
나는 그분이 아니다. 

그분께서는 내 뒤에 오시는데, 나는 그분의 신발 끈을 풀어 드리기에도 합당하지 않다.’
26 형제 여러분, 아브라함의 후손 여러분, 그리고 하느님을 경외하는 여러분,
이 구원의 말씀이 바로 우리에게 파견되셨습니다.” 

 


복음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 1,57-66.80 

 

57 엘리사벳은 해산달이 차서 아들을 낳았다.
58 이웃과 친척들은 주님께서 엘리사벳에게 큰 자비를 베푸셨다는 것을 듣고, 그와 함께 기뻐하였다.
59 여드레째 되는 날, 그들은 아기의 할례식에 갔다가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아기를 즈카르야라고 부르려 하였다.
60 그러나 아기 어머니는 “안 됩니다. 요한이라고 불러야 합니다.” 하고 말하였다.
61 그들은 “당신의 친척 가운데에는 그런 이름을 가진 이가 없습니다.” 하며,
62 그 아버지에게 아기의 이름을 무엇이라 하겠느냐고 손짓으로 물었다.
63 즈카르야는 글 쓰는 판을 달라고 하여 ‘그의 이름은 요한’이라고 썼다.
그러자 모두 놀라워하였다.
64 그때에 즈카르야는 즉시 입이 열리고 혀가 풀려 말을 하기 시작하면서 하느님을 찬미하였다.
65 그리하여 이웃이 모두 두려움에 휩싸였다.
그리고 이 모든 일이 유다의 온 산악 지방에서 화제가 되었다.
66 소문을 들은 이들은 모두 그것을 마음에 새기며, “이 아기가 대체 무엇이 될 것인가?” 하고 말하였다.
정녕 주님의 손길이 그를 보살피고 계셨던 것이다.
80 아기는 자라면서 정신도 굳세어졌다.
그리고 그는 이스라엘 백성 앞에 나타날 때까지 광야에서 살았다.

 

 

 

 

<'주님의 손길이 요한을 보살피고 계셨던 것이다.'>


오늘은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입니다.

 

탄생 이야기는 언제 들어도 신비롭습니다.

참으로 세상에서 탄생 이야기만큼 놀랍고 경이로운 이야기는 없을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는 그 누구도 이 세상에 스스로 태어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스스로 세상에 태어날 수 없다는 이 사실은 선물로 받은 생명을 살아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동시에 아무렇게나 될 대로 막 살라고 주어진 생명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든 생명에는 살아야 할 생명의 질서가 새겨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이로움을 오늘 <화답송>은 이렇게 노래합니다.
“오묘하게 지어주신 이 몸, 당신을 찬송하나이다.”

(시 139,4)

제1독서에서 이사야 예언자도 이렇게 말합니다.

"주님께서 나를 모태에서부터 부르시어, 어머니 뱃속에서부터 내 이름을 지어 주셨다. 

그분께서 내 입을 날카로운 칼처럼 만드시고, 당신의 손 그늘에 나를 숨겨 주셨다. 

나를 날카로운 화살처럼 만드시어 당신의 화살 통 속에 감추셨다."

(이사 49,1-2)

 

"~ 나를 모태에서부터 당신 종으로 빚어 만드셨다.

나는 주님의 눈에 소중하게 여겨졌고, 나의 하느님께서 나의 힘이 되어 주셨다."

(이사 49,5)

그렇습니다. 

우리는 그저 세상에 그냥 무의미하게 던져진 존재가 아닙니다. 

실존주의 철학자 하이데거가 말한 것처럼, “인간은 세상 안에 과업(소명)을 지고 던져진(기투성의) 존재입니다.” 

곧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이 세상의 구원과 사랑을 이루어야 하는 과업(소명)을 짊어진 이들입니다. 

오늘 복음은 구세주의 탄생에 앞서 요한의 탄생을 전해줍니다.

이 탄생 이야기 역시 그의 신원과 사명을 밝혀줍니다. 

엘리사벳은 자녀를 낳을 수 없었던 불임의 여인으로 이미 늙었는데도 아들을 낳았습니다. 

그래서 이웃들과 친척들도 그녀의 해산 소식을 듣고, 그와 함께 기뻐하였습니다.(루카 1,58)

 

사실 그들은 늙은 엘리사벳의 아기 잉태와 더불어 벙어리가 되어버린 즈카리아를 통해, 감추어진 무언가가 실현되고 있음을 알아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여드레째 되는 날, 아기는 할례를 받고 그의 이름을 '요한'이라 명하게 되는 순간, 즈카리아의 묶였던 혀가 풀렸습니다.

 

그리하여 이웃이 모두 두려움에 휩싸였습니다.(루카 1,65)

그들은 하느님의 관여(개입)와 현존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소문을 들은 이들은 모두 그것을 마음에 새기며'(루카 1,66), 아기가 하느님의 계획에 따라 수행할 사명이 무엇일지 궁금해 하였습니다. 

제2독서에서, 그의 사명을 바오로 사도는 ‘하느님께서 약속하신 구원자를 보내주시기 전에, 이스라엘 온 백성에게 회개의 세례를 미리 선포’(사도 13,23-24)하는 것이었다고 증언합니다.

이는 세례자 요한의 탄생이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와의 관계 안에서 주어진 것임을 밝혀줍니다.

만약 그리스도와의 관계를 분리해 버린다면, 요한의 탄생 의미는 사라지고 말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우리의 신원과 사명도 그렇습니다. 

우리의 신원과 사명도 그리스도와의 관계 안에서 존재의 의미와 가치를 지니게 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주님의 구원과 사랑을 '마음에 새기며' 소명을 살아가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주님의 손길이 요한을 보살피고 계셨던 것'(루카 1,66)처럼, 우리에게도 역시 주님의 손길이 보살피고 계십니다.

그러니 우리는 그리스도의 신비 안에 자신을 묻고, 자신의 신원과 소명을 찬미하며 살아가야 할 일입니다.

 

아멘.
 

<오늘의 말·샘 기도>

 

'정녕 주님의 손길이 그를 보살피고 계셨던 것이다.'

(루카 1,66)

 

주님,

당신이 베푸신 자비를 봅니다.

감추어진 무언가가 제게 실현되고 있음을 봅니다.

저의 가린 눈을 열고 당신의 관여와 현존을 볼 수 있게 하소서.

당신의 손길이 오늘도 저를 보살피고 계시오니, 당신 신비 안에 저 자신을 묻습니다.

하오니, 주님!

당신의 구원과 사랑을 소명으로 살아가게 하소서.

그것이 제가 살아가는 이유가 되게 하소서.

아멘.

 

- 양주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회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