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2025.01.18)
이전글 매일미사/2025년1월17일금요일[(백) 성 안토니오 아빠스 기념일]  
다음글 아버지의 눈물  
작성자김중애 쪽지 캡슐 작성일2025-01-17 조회수176 추천수6 반대(0) 신고

 

2025년 1월 17일

성 안토니오 아빠스 기념일

어느 여행자가 마을 입구에

앉아 있는 노인에게 묻습니다.

“이 마을 사정은 어떠합니까?

이곳 주민들은 어떤가요?”

노인은 “그대가 최근에 갔던 곳의

사정은 어떠했소? 그곳 주민은

어떠했나요?”라고 되물었습니다.

이 여행자는 “아주 친절한 사람들이었습니다.

그곳에서 저는 정말 행복한 시간을 보냈지요.”

라고 대답했습니다. 이 말에

노인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아마 이 마을 사람들도 그러할 것이오.”

다음날, 다른 여행자가 똑같은 질문을 했습니다.

노인은 마찬가지로 “그대가 최근에 갔던 곳의

사정은 어떠했소? 그곳 주민은 어떠했나요?”

라고 되물었습니다. 이 여행자는 인상을 쓰면서,

“마을 전체가 끔찍했습니다. 하나같이 형편없는

사람이었고, 저한테 아주 못되게 굴었습니다.”

라고 대답했습니다. 이에 노인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아마 이 마을 사람들도 그러할 것이오.”

자기가 어떤 마음을 간직하느냐에 따라

보이는 것도 달라집니다. 즉, 긍정적

마음으로 바라보면 긍정적인 모습이 보이고,

부정적 마음으로 바라보면 부정적인 모습만

보일 뿐입니다. 이렇게 ‘나’의 문제인데,

우리는 늘 ‘남’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마음을 가져야 할까요?

예수님께서 중풍 병자를 향해 “얘야,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런데 이 말에 대해 율법 학자

몇 사람이 의아하게 생각합니다.

‘이자가 어떻게 저런 말을 할 수 있단 말인가?

하느님을 모독하는군. 하느님 한 분 외에

누가 죄를 용서할 수 있단 말인가?’(마르 2,6)

하느님을 모독하는 말이라고 생각하는

율법 학자들을 바라보십시오. 그들은

하느님의 일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생각만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놀라운 일을 하시는

예수님을 알아볼 수 없었던 것입니다.

사실 당시에는 죄의 용서와 질병의 치유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당시의 시선으로

죄를 용서받았다고 하시면서,

중풍 병자의 병을 치유하시려는

것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예수님께 죄를

용서할 수 있는 권한이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마음을 간직하느냐에 따라서

하느님의 일이 세상에 드러날 수도 있고,

또 반대로 감춰질 수도 있습니다.

사랑과 믿음이 전혀 없는 곳에서는

하느님의 일이 전혀 드러날 수 없는 법이지요.

오늘 복음의 놀라운 치유가 일어날 수 있었던

것은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율법 학자

아닌 예수님에 대한 굳은 믿음을 가지고

중풍 병자를 데리고 온 사람들 덕택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마르 2,5)

라는 표현이 있었던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마음을 간직하고 있나요?

오늘의 명언

행동이 반드시 행복을 안겨주지 않을지는

몰라도 행동 없는 행복이란 없다.

(윌리엄 제임스)

사진설명: 성 안토니오 아빠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