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매일미사/2025년 2월 2일 주일 [(백) 주님 봉헌 축일(축성 생활의 날)] | |||
---|---|---|---|---|
이전글 | 35일 정도의 방황 끝에 한 참회 |4| | |||
다음글 | 하느님의 뜻에 대한 겸손한 탐구 |1| | |||
작성자김중애 | 작성일2025-02-02 | 조회수15 | 추천수0 | 반대(0) 신고 |
2025년 2월 2일 주일 [(백) 주님 봉헌 축일(축성 생활의 날)] 오늘 전례 교회는 성탄 다음 사십 일째 되는 날, 곧 2월 2일을 주님 성탄과 주님 공현을 마무리하는 주님 봉헌 축일로 지낸다. 이 축일은 성모님께서 모세의 율법대로 정결례를 치르시고 성전에서 아기 예수님을 하느님께 봉헌하신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예루살렘에서는 386년부터 이 축일을 지냈으며, 450년에는 여기에 초 봉헌 행렬이 덧붙여졌다. ‘축성 생활의 날’로 제정하시어, 복음 권고의 서원으로 주님께 축성받아 자신을 봉헌한 축성 생활자들을 위한 날로 삼으셨다. 이에 따라 교회는 해마다 맞이하는 이 축성 생활의 날에 축성 생활 성소를 위하여 특별히 기도하고, 축성 생활을 올바로 이해하도록 권고한다. ‘축성 생활’로 옮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봉헌 생활의 날’을 ‘축성 생활의 날’로 바꾸었다(주교회의 상임위원회 2019년 12월 2일 회의). 요셉 성인과 성모님께서 아기 예수님을 성전에서 하느님께 봉헌하시는 모습을 떠올리면서, 우리 한 사람 한 사람 또한 주님의 부르심을 받은 소중한 존재임을 깨달읍시다. 특별히 ‘한국 교회 축성 생활의 해’ (2024년 11월 21일-2025년 10월 28일)를 맞아 교회 안에서 각별한 봉헌의 삶을 선택한 축성 생활자들을 위하여 이 미사 중에 함께 기도합시다. 제1독서 <너희가 찾던 주님, 그가 자기 성전으로 오리라.> 그가 내 앞에서 길을 닦으리라. 자기 성전으로 오리라. ─ 만군의 주님께서 말씀하신다. ─ 버티고 서 있을 수 있겠느냐? 염색공의 잿물 같으리라. 제물이 옛날처럼, 화답송 시편 24(23),7.8.9.10(◎ 10ㄴㄷ) 영원한 문들아, 일어서라. 영광의 임금님 들어가신다. ◎ 만군의 주님, 그분이 영광의 임금님이시다. 힘세고 용맹하신 주님, 싸움에 용맹하신 주님이시다. ◎ 만군의 주님, 그분이 영광의 임금님이시다. 일어서라. 영광의 임금님 들어가신다. ◎ 만군의 주님, 그분이 영광의 임금님이시다. 만군의 주님, 그분이 영광의 임금님이시다. ◎ 만군의 주님, 그분이 영광의 임금님이시다. 제2독서 <예수님께서는 모든 점에서 형제들과 같아지셔야 했습니다.> 피와 살을 나누어 가지셨습니다. 곧 악마를 당신의 죽음으로 파멸시키시고, 종살이에 얽매여 있는 이들을 보살펴 주시는 것이 아니라, 형제들과 같아지셔야 했습니다. 섬기는 일에 충실한 대사제가 되시어, 유혹을 받으셨기 때문에 유혹을 받는 이들을 도와주실 수가 있습니다. 복음 환호송 루카 2,32 참조 계시의 빛이요 당신 백성 이스라엘에게는 영광이시네. 복음 <제 눈이 주님의 구원을 보았습니다.> 정결례를 거행할 날이 되자, 데리고 올라가 주님께 바쳤다. 사내아이는 모두 주님께 봉헌해야 한다.” 고 기록된 대로 한 것이다. 두 마리를” 바치라고 명령한 대로 시메온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이스라엘이 위로받을 때를 기다리는 이였는데 성령께서 그 위에 머물러 계셨다. 그리스도를 뵙기 전에는 성전으로 들어갔다. 관례를 준수하려고 부모가 아기 예수님을 데리고 들어오자, 이렇게 하느님을 찬미하였다. 당신 종을 평화로이 떠나게 해 주셨습니다. 앞에서 마련하신 것으로 당신 백성 이스라엘에게는 영광입니다.” 두고 하는 이 말에 놀라워하였다. 아기 어머니 마리아에게 말하였다. 많은 사람을 쓰러지게도 하고 일어나게도 하며 또 반대를 받는 표징이 되도록 정해졌습니다. 칼에 꿰찔리는 가운데 많은 사람의 마음속 생각이 드러날 것입니다.” 프누엘의 딸로서 아세르 지파 출신이었다. 남편과 일곱 해를 살고서는, 기도하며 밤낮으로 하느님을 섬겼다. 나아와 하느님께 감사드리며, 그 아기에 대하여 이야기하였다. 나자렛으로 돌아갔다. 충만해졌으며, 하느님의 총애를 받았다. 영성체송 루카 2,30-31 참조 모든 민족들 앞에 마련하신 구원을 보았나이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