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2025.07.24)
이전글 매일미사/2025년 7월 24일 목요일[(녹) 연중 제16주간 목요일]  
다음글 예수님의 십자가에서 마지막 말씀  
작성자김중애 쪽지 캡슐 작성일2025-07-24 조회수104 추천수3 반대(0) 신고

 

2025년 7월 24일

연중 제16주간 목요일

본당 신자로부터 이런 말을 들었습니다.

“신부님께서는 콩깍지가 씌었어요.”

우리 본당 아이들을 좋아하고

또 아이들을 칭찬하는 저를 향해

하시는 말씀입니다. 그런데 아무리

다르게 보려 해도 아이들은 너무나

착하고, 또 미사도 얼마나 열심히

참석하는지 모릅니다. 어느

신부님께서는 어린이 미사와

청소년 미사가 제일 힘들다고 하는데,

저의 경우는 우리 성당 아이들과

함께하는 미사가 너무 좋습니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더 많은 것을

주고 싶습니다. 그리고 주면 줄수록

저의 기쁨도 커지면서, 감사의 마음이

계속해서 생깁니다. 감사는 풍요의

감각을 만들고, 이로써 행복의 감정을

일으킨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가장 먼저 하느님께 콩깍지가

씌어야 할 것입니다. 그래야 하느님께

받은 선물을 헤아리며 감사할 수가

있습니다. 또 그 안의 풍요로움으로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사실 이 세상은 이미 풍요롭고

충분합니다. 자료에 따르면, 지구상에는

80억여 명을 먹여 살리기에 충분한

식량이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도 세계 곳곳에는 굶어 죽는

사람이 많습니다. 각자가 자기 몫보다

더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욕심과 이기심이 감사의 마음도

행복의 마음도 지워 버리는 것입니다.

대신 콩깍지가 씌어야 합니다.

그래야 가지고 있는 것에 만족하면서

동시에 사랑으로 함께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이 가지려고 하기보다 더 많이

주는 데 만족할 수 있습니다. 그때

진짜 행복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비유로 말씀하시는 이유를

“저들이 보아도 보지 못하고 들어도

듣지 못하고 깨닫지 못하기 때문이다”

(마태 13,13)라고 하십니다.

하늘 나라의 신비는 인간 이성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은총과 사랑으로

알 수 있는 것이지요.

여기서 마음을 닫아버리는 사람은

듣고자 하지 않기 때문에 듣지 못합니다.

그러나 “너희의 눈은 볼 수 있으니

행복하고, 너희의 귀는 들을 수 있으니

행복하다.”(마태 13,16) 하시면서

열린 마음을 축복하시는 것입니다.

주님께 콩깍지가 씐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만이

주님의 사랑이 얼마나 큰지를 깨달을 수

있습니다. 그 사랑을 헤아리면서 감사할

수밖에 없고, 그 안의 풍요로움을

느끼면서 행복하게 됩니다.

‘가진 자는 더 받아 넉넉해지고,

가진 것이 없는 자는 가진 것마저

빼앗길 것이다.’(마태 13,12)라고

하십니다. 열린 마음을 가진 사람만이

넉넉한 삶을 살 것입니다. 그러나 닫힌

마음으로 주님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은

영적으로 빈곤한 삶을 살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의 명언

나무는 열매로 말하고 사람은

행동을 보면 인간됨을 알 수 있다.

호의를 베풀면 우정을 얻고

친절을 베풀면 사랑을 거두리라.

(성 바실리우스)

사진설명:

 너희에게는 하늘 나라의 신비를 

아는 것이 허락되었지만 저 사람들에게는 

허락되지 않았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