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양승국 신부님_결국 주님만이 영원하십니다!
이전글 나의 사랑......나의 예수님.  
다음글 이영근 신부님_ “재화를 모으면서 하느님 앞에서는 부유하지 못한 사람”(루카 12,21)  
작성자최원석 쪽지 캡슐 작성일2025-08-02 조회수74 추천수2 반대(0) 신고

 

세상을 떠난 이후, 우리에 대한 세상 사람들의 평가가 만일 이렇다면, 주님 앞에, 후손들 앞에 얼마나 창피할 것입니까? “그 사람은 딱 한 마디로 수전노였어. 그저 뭐든 태산처럼 쌓을 줄만 알았지, 10원 한 푼 나누지를 않았지. 그 천문학적 재산, 어려운 사람들 위해 좀 나눴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죽을 때, 단 한 푼도 가져가지 못할 것을. 그 많은 돈 놔두고 떠나려니, 어디 눈이나 제대로 감고 죽었을까?”

반대로 이런 평가를 받는다면 얼마나 큰 영예이겠습니까? “그분은 정말이지 의롭고 존경받은 부자였어. 열심히, 정직한 방법으로, 최선을 다해 기업을 운영한 경영자로서 모델이었지. 피 말리는 경쟁 사회, 하루 앞을 예측 못 할 변화무쌍한 환경 속에서도, 회사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늘 연구하시고 백방으로 뛰어다니셨지. 직원들과 함께 창출한 이윤을 통 크게 나눌 줄도 아셨고, 직원 복지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셨어. 연말연시나 명절이면, 남모르게 가난한 이웃들을 위한 기부에도 열심이셨지.”

오늘 우리 사회가 지니고 있는 큰 병폐 중에 하나가 부의 극단적 불균형입니다. 이 세상 그 어떤 나라보다도 소수의 사람들에게 부가 편중되어 있습니다. ‘부익부빈익빈’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분위기가 우리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가진 자들과 못 가진 자들 사이의 갈등과 반목, 위화감과 좌절감이 혼재하고 있습니다.

천문학적 재산을 축적한 이 땅의 재벌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도 만만치 않습니다.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전반적으로 천박한 자본주의 문화와 사고 방식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부의 축척 과정에서 건전함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중소기업들이나 소규모 영세업자들을 배려하는 상생 정신의 결핍이 눈에 띕니다.

이런 사회 현실 앞에 우리 교회에 주어진 역할이 있습니다. 부자와 빈자 사이의 가교(架橋) 역할입니다. 돈은 돈다고 해서 돈입니다. 천문학적인 돈이 일부 특정한 사람들에게만 묶여있지 않고, 활발히 돌아다니게 하는 다리 역할이 우리의 몫입니다.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을, 극단적 생활고 속에 조용히 죽어가는 사람들을 찾아 나서야겠습니다. 어려운 처지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의 리스트를 만들고, 구체적 지원 계획을 세워야겠습니다.

부자들에게 다가가서 그들의 양심에 호소해야겠습니다. 부의 올바른 사용이 얼마나 숭고하고 가치 있는 일인지를 알려줘야겠습니다. 마침내 그들의 부를 복음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해줘야겠습니다. 그런 노력이야말로 부자들을 구원으로 이끄는 길입니다.

예수님께서 드신 한 부자에 대한 비유 말씀은 오늘 우리에게도 유효합니다. 그는 엄청난 땅을 소유한 대지주였나 봅니다. 얼마나 큰 풍작이었던지, 수확물을 저장해둘 창고가 부족한 상황이었습니다.

팔고 또 팔아 엄청난 자금도 확보했습니다. 흡족해진 부자는 얼마나 기분이 좋았던지 스스로를 향해 이렇게 외쳤습니다. “자, 네가 여러 해 동안 쓸 많은 재산을 쌓아 두었으니, 쉬면서 먹고 마시며 즐겨라.”(루카 12,19절)

그러나 부자의 기대는 환상에 불과했습니다. 부자가 재물의 안정적 기반에 도달했다고 자부하는 순간, 그 안정성을 순식간에 허무는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그는 모든 재물과 곡식과 창고를 그냥 내버려 둔 채, 빈손으로 주님 앞으로 나아가게 되었습니다.

“어리석은 자야, 오늘 밤에 네 목숨을 되찾아 갈 것이다. 그러면 네가 마련해 둔 것은 누구 차지가 되겠느냐?”(루카 12,20)

오늘 우리 시대 부자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큰 비유 같습니다. 우리 인간의 안전은 재물에 있지 않고 오직 주님 안에 있습니다. 변하고 사라지는 것들을 얻기 위해 보다 중요하고 본질적인 대상을 망각하고 무시하는 것은 참으로 큰 어리석음입니다. 결국 주님만이 영원하시며 그분 품 안에 머무는 것만이 안전합니다.

양승국 스테파노, 살레시오회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